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7.07.06 21:52 수정 : 2017.07.06 22:20

회의론 “김정은이 조건붙은 대화 나오겠나”
긍정론 “최고 담판 필요…대화원칙 밝힌 것”

문재인 대통령의 5일 남북 정상회담 제안은 남북간 현안 해결에 남북 최고권력자의 담판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베를린 선언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제안하면서 개최 조건으로 △여건이 갖춰지고 △한반도의 긴장과 대치 국면을 전환시킬 계기가 될 것 등 2가지를 달았다. 또 회담 의제에 대해선 △핵 문제 △평화협정을 포함한 남북한 모든 관심사로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았다. 횟수는 “한번으로 되지 않을 것”이라고 여러 차례 추진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과거 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임기 동안 단 한 차례만 남북 정상회담을 했던 것과 비교된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북한의 결단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남북 정상회담의 조건으로 언급한 ‘여건’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북한이 최근 ‘화성-14’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 군사적 도발을 지속하는 상황을 의식한 표현으로 보인다. 미국 등 국제사회에서 대북 압박을 강화하는 분위기에서 아무 조건 없이 남북 대화를 추진하기 어려운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번 제안은 문 대통령이 지난 6월 미국 방문을 앞두고 미국 방송 <시비에스>(CBS)와의 인터뷰에서 남북 정상회담에 대해 “금년 중으로 그런 대화를 할 수 있는 분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다양하고 강도 높은 압박과 제재를 통해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이끌어내는 것이 금년 중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말한 것을 좀 더 구체화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문 대통령이 남북 정상회담에 조건을 닮으로써 실현 가능성은 오히려 낮아진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과거 김대중 대통령이나 노무현 대통령이나 남북 정상회담을 제안할 때 전제 조건을 단 적이 없다. 문 대통령이 국내외 보수적인 시각을 의식한 것으로 보이지만, 김정은이 조건이 붙은 대화에 나오겠느냐”고 말했다. 김정은 위원장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들이기 위해 설득해야 하는 쪽이 조건을 붙이는 것은 현실성이 없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의 이번 제안을 즉각적인 정상회담 제안이라기보다는 대화의 원칙을 밝힌 것이라는 풀이도 나온다. 김연철 인제대 교수는 “‘여건이 갖춰지면’이라는 말을 조건이라고 볼 이유는 없다. 남북관계 개선에 남북 정상회담 개최가 필요하다는 점을 밝히고, 여건이 갖춰질 환경을 만들어가자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