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화성-14’형 2차 발사 기술 평가-
1차 미사일보다 고도 1000㎞ 높이고
비행거리·시간도 큰 진전 이뤄
탄두 무게 줄여 발사했을 수도
미 전문가 “한달 안돼 또 성공
이런 추세면 연내 ICBM 만들 듯”
북한이 28일 밤 11시41분께 기습적으로 발사한 ‘화성-14’형은 지난 4일 1차 발사보다 앞선 성능을 보여줬다. 불과 한 달도 안 된 기간에 이룬 성과다. 북한의 미사일 기술이 무척 빠르게 진보하고 있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북한은 29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화성-14형 2차 시험발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됐다”며 “최대 정점 고도 3724.9㎞까지 상승하며 거리 998㎞를 47분12초간 비행”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의 평가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합동참모본부(합참)는 화성-14형 발사 2시간 40여분 뒤 “고도 약 3700㎞, 사거리 1000여㎞로 사거리 기준 시 지난번보다 더 진전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미국 국방부의 제프 데이비스 대변인도 “이번 미사일은 예상했던 대로 아이시비엠으로 평가한다”며 “미사일은 (자강도) 무평리에서 발사돼 약 1000km를 비행한 뒤 동해에 떨어졌다”고 밝혔다.
북한이 <조선중앙TV>에 공개한 영상을 보면, 화상-14형 미사일은 8축 발사차량에 실려온 뒤 지상 발사대에 수직으로 거치돼 발사됐다. 지난 4일 1차 발사 때와 같은 절차를 밟아 고각으로 발사됐다. 그러나 이번 2차 발사에서 나타난 수치들은 지난 4일 1차 발사 때의 최고고도 2802㎞, 비행거리 933㎞, 비행시간 39분보다 크게 향상된 것이다. 최고고도가 1000㎞ 가까이 더 높아졌고 비행거리는 65㎞, 비행시간은 8분여 늘어났다. 최대 사거리가 나올 정상 각도로 발사하면, 사거리가 9000~1만㎞에 이르러 미국 본토 타격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28일 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대륙간 탄도미사일급 ‘화성-14’형 미사일 2차 시험발사를 실시했다고 29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