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7.09.13 12:11
수정 : 2017.09.13 14:49
|
12일 F-15K 전투기가 서해 상공에서 타우러스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공군 제공
|
장거리 공대지 유도미사일 시험 “400㎞ 비행 목표 명중”
스텔스 기술 적용, 북핵 위협 증가…90여기 추가 ‘도입’
|
12일 F-15K 전투기가 서해 상공에서 타우러스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공군 제공
|
공군이 ‘킬 체인’의 핵심전력인 장거리 공대지 유도미사일 ‘타우러스’의 첫 실사격 시험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12일 서해 상공에서 F-15K 전투기가 발사한 타우러스 미사일은 약 400㎞를 자체 항법으로 비행해 목표지점인 직도사격장의 표적을 명중했다고 공군은 전했다. 이번 실사격은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F-15K와 타우러스 미사일 간의 체계 통합과 안전 분리 확인 등 타우러스의 운영 능력을 최종 검증하기 위해 계획됐고 공군은 밝혔다. 실험에는 탄약과 장비가 동일하지만 폭약만 제거해 폭발성이 없는 ‘비활성탄’(INERT)이 사용됐다.
|
12일 F-15K 전투기에서 발사된 타우러스 미사일이 자체항법으로 고속 순항비행하여 목표물로 향하고 있다. 공군 제공
|
최대 사거리가 500㎞에 달하는 타우러스는 북한의 방공망 밖 후방지역에서 북한의 핵심 시설을 타격할 수 있는 정밀유도미사일이다. 저고도 순항 비행 능력과 스텔스 기술을 적용해 북한의 레이더망에 탐지되지 않으며, 군용 GPS를 장착해 전파 교란에도 목표물 반경 3m 이내로 타격이 가능하다고 공군이 밝혔다. 철근 콘크리트 3m를 관통할 수 있는 파괴력을 지녔다고 해, ‘킬 체인’(kill chain)의 핵심전력으로 꼽힌다.
타우러스는 길이 5.1m, 직경 63㎝, 무게 약 1400㎏이며 위성위치정보(지피에스·GPS), 관성항법(INS), 지형대조, 영상적외선(IIR) 등의 유도방식을 사용하는 독일 타우러스 시스템즈 제품이다.
2013년 도입이 결정된 타우러스의 대당 가격은 20억여원이다. 군은 올해까지 170여기를 도입할 예정이었으나, 지난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증가’를 이유로 내년까지 90여기를 추가 도입하기로 했다.
|
타우러스 실사격 경로. 공군 제공
|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