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7.09.24 15:39 수정 : 2017.09.24 22:09

북한 6차 핵실험 장소인 길주군 풍계리 인근에서 9월23일 발생한 자연지진(왼쪽)과 3일 핵실험에 의한 인공지진(오른쪽) 파형. 자연지진은 P파에 비해 S파가 우세한 반면 인공지진은 P파가 우세하고 S파가 관측되지 않는다. 기상청 제공

북한 6차 핵실험 풍계리 인근에서
23일 오후 1시와 5시 각 규모 2.6, 3.2 지진
국내외 지진기관·전문가 ‘자연지진’ 분석
지구조 변형·산사태·갱도 붕괴 가능성도

북한 6차 핵실험 장소인 길주군 풍계리 인근에서 9월23일 발생한 자연지진(왼쪽)과 3일 핵실험에 의한 인공지진(오른쪽) 파형. 자연지진은 P파에 비해 S파가 우세한 반면 인공지진은 P파가 우세하고 S파가 관측되지 않는다. 기상청 제공
23일 오후 북한 6차 핵실험 장소 부근에서 잇따라 발생한 규모 2.6과 3.2의 지진은 핵실험으로 유발된 강력한 지진동이 이 지역에 그동안 쌓여 있던 지구조 응력을 배출하는 효과를 가져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상청 등 국내외 지진관측 기관들도 자연지진은 맞지만 핵실험 영향으로 지진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기상청은 24일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북북서쪽 49㎞ 지역에서 23일 오후 5시29분 16초(한국시각) 규모 3.2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원 깊이는 2㎞ 안팎으로 6차 북한 핵실험 장소에서 북북서쪽으로 약 6㎞ 지점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또 “규모 3.2 지진을 정밀분석하는 과정에 앞서 오후 1시43분께 같은 지점에서 규모 2.6의 지진이 발생했던 사실을 발견했다”고 덧붙였다.

기상청은 이들 지진이 인공지진이 아닌 자연지진인 것으로 판단했다. 그 근거로 P파에 비해 S파가 우세하고 공중음파 관측자료에 특이한 현상이 분석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지진 규모가 3.5, 진원 깊이를 5㎞로 발표하고 지진 원인에 대해선 “자연지진인지 인공지진인지 확정할 수 없다”고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

중국 지진관측기관인 국가지진대망(CENC)은 지진 규모를 3.4로, 진원의 깊이를 0㎞로 추정하면서 ‘폭발에 의한 인공지진’ 가능성을 제기했으나, 정밀 분석을 통해 인공지진이 아니라고 수정 발표했다.

유엔 산하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는 이번 지진이 6차 핵실험 영향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이 기구의 라시나 제르보 사무총장은 ‘트위터’에 “6차 핵실험 직후 발생했던 2차 지진과 23일의 두 차례 지진 모두 6차 핵실험에 의한 ‘붕괴’ 등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북한이 핵실험을 안전 통제를 위해 낮 시간에 해왔다는 점, 규모가 3.2로 작다는 점 등을 들어 핵실험에 의한 인공지진은 아닌 것으로 분석했다. 홍 교수는 또 풍계리가 한반도에서 지진 발생이 가장 적은 지역의 하나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자연지진 가능성도 배제했다. 홍 교수는 “6차 핵실험으로 인해 유발된 강력한 지진동이 이 지역에서 그동안 쌓여 있던 지구조 응력 배출을 가져왔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산사태나 핵실험장 갱도의 대규모 붕괴도 원인일 수 있다”며 “실제 인공위성 간섭영상 분석을 통해 북한 6차 핵실험 직후 핵실험장 인근 산정상부에서 최대 4m 정도의 변형이 있었음이 확인된 바 있다”고 덧붙였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