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2.09 10:17
수정 : 2018.02.09 20:23
|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9일 오전 국방부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공군 전투기의 출격대기 명령 여부와 헬기 사격에 대한 사과문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
9일 국방부 특조위 조사 관련 사과문 발표
“최선 다했지만 진실규명 미진…5·18 특별법 필요”
“군의 정치 개입 금지, 국민의 신뢰 되찾겠다” 다짐
|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9일 오전 국방부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공군 전투기의 출격대기 명령 여부와 헬기 사격에 대한 사과문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9일 ‘국방부 5·18 특조위’의 조사 결과와 관련해 사과문을 발표했다.
송 장관은 이날 국방부 청사에서 “국방부 장관으로서 우리 군이 38년전 5·18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역사에 큰 아픔을 남긴 것에 대해 국민과 광주시민들께 충심으로 위로와 사과를 드린다”고 밝혔다. 국방부 장관이 군의 5·18 민주화운동 진압과 관련해 사과한 것은 처음이라고 국방부 관계자가 밝혔다.
송 장관은 최근 ‘5·18 민주화운동 헬기사격 및 전투기 출격 대기 관련 국방부 특별조사위원회’(5·18 특조위)의 조사 활동에 대해 “진실규명을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특조위의 법적 한계로 인해 미진한 부분이 있었다”며 “보다 완전한 진상규명을 위하여 5·18 특벌법이 통과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국방부 5·18 특조위는 지난해 9월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구성됐으나, 강제 조사권 등이 없어 조사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송 장관은 “군이 더 이상 정치에 개입하거나 정치에 이용당하는 일이 없도록 법적·제도적 조치를 갖추겠다”며 “국군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본연의 임무에만 최선을 다하여 국민의 사랑과 신뢰를 받는 군으로 거듭나겠다”고 다짐했다.
앞서 국방부 5·18 특조위는 7일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간 계엄군이 헬기를 동원해 광주시민들에게 총격을 가했고 수원과 사천 비행장의 전투기 등이 폭탄을 장착하고 대기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