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4.07 17:12
수정 : 2018.04.07 17:12
청와대·통일부 통신담당 실무자 3명 참석…북측도 3∼4명 나와
2시간 50분간 걸쳐 직통전화 개설 장소, 도·감청 방지 등 협의
내주중 후속회담 열릴 듯…정상간 통화일정은 고위급 회담서 논의
남북은 7일 오전 10시부터 낮 12시 50분까지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남북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통신 실무회담을 열었다.
우리 측에서는 남북정상회담준비위원회 운영지원분과에 속한 청와대와 통일부 실무자 3명이 참석했고, 북측에서도 통신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실무자 3∼4명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에서는 정상 간 '핫라인'(직통전화) 개설 장소와 운영 방안, 도·감청 방지등 기술적 보안 문제 등이 집중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오늘 회담은 통신을 담당하는 실무자들끼리 이뤄졌다"며 "의제나 참석자 명단 등은 일종의 보안이어서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그동안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집무실에 직통전화기를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남북은 내주 중으로 한차례 더 회담을 갖고 핫라인 개설 문제를 최종 확정 지을것으로 전해졌다.
남북은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오는 27일 정상회담 이전에 직접 통화를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오는 18일께로 예상되는 고위급 회담에서 다룰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은 이 회담에서 구체적인 통화 날짜를 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앞서 지난 4일 정례브리핑에서 통신 실무회담과 관련해"통신이 이뤄지려면 기술적 문제들이 해결돼야 하고 그런 차원에서 실무적 논의들이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남북은 지난달 초 문 대통령의 특사단 방북 때 정상 간 핫라인을 설치하고 정상회담에 앞서 첫 통화를 하기로 합의했다.
남북 정상 간 핫라인은 청와대에 있는 문 대통령의 집무실과 평양 노동당 청사의 김 위원장 집무실에 각각 설치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