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9.18 21:38
수정 : 2018.09.18 22:12
|
18일 오전 평양 시내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무개차를 타고 카퍼레이드를 하면서 환영하러 나온 10만여명의 평양 시민에게 손을 흔들며 인사하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
|
[평양 남북정상회담] 남북 격식 넘어 ‘하나된 경호’
|
18일 오전 평양 시내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무개차를 타고 카퍼레이드를 하면서 환영하러 나온 10만여명의 평양 시민에게 손을 흔들며 인사하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8일 오전 평양 시내에서 카퍼레이드를 하는 동안 두 정상이 함께 탄 무개차(지붕이 없는 차량)의 조수석에는 북쪽 인사가 아닌 주영훈 청와대 경호처장이 앉았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정상 경호 의전을 뛰어넘은 파격이다. 무개차 운전은 북쪽 호위당국에서 맡았으나 조수석 선탑(선임탑승자)은 주 처장이 맡은 것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경호와 직결된 문제인데도 북쪽 호위당국의 배려로 우리 쪽 경호 책임자가 선탑을 하게 됐다”고 전했다.
정상 행사 때 일차 경호 책임은 초청국이 맡는 게 국제 관례다. 그러나 북쪽은 2007년 10월 남북정상회담 때도 노무현 대통령과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무개차를 타고 평양 시내를 지나는 동안 남쪽이 근접경호를 할 수 있도록 배려한 바 있다.
두 정상이 이용한 무개차는 독일 벤츠에서 만든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600 풀만 가드’를 개조한 차량으로 추정된다. 마이바흐의 최상위급 버전에 방탄 기능을 갖춰 특수제작한 차량으로, 무게는 5t에 이른다. 이 차량은 뒷좌석 쪽 지붕을 여닫을 수 있도록 특수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관계자는 “방탄차인 ‘풀만 가드’를 기반으로 한 차량은 맞는데, 주문할 때부터 특수제작한 건지 출고한 뒤 북한에서 개조한 건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평양 순안공항에 내린 문 대통령이 평양 시내까지 타고 간 차량도 남쪽에서 미리 가져온 방탄 전용차량인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600 풀만 가드’다. 4·27 판문점 정상회담 때 김 위원장도 같은 차종을 타고 군사분계선을 넘었다. 총격과 화염방사기는 물론 차량 바로 밑에서 15㎏의 티엔티(TNT)가 폭발해도 견디도록 설계돼 있다. 바퀴 4개가 모두 터져도 시속 80~100㎞로 달릴 수 있다. 시가 8억~10억원으로 알려져 있다.
평양·서울 공동취재단, 김지은 홍대선 기자
mirae@hani.co.kr
[화보] 2018 평양 남북정상회담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