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9.19 11:29 수정 : 2018.09.19 15:02

정상회담 이틀째인 19일 만찬 장소로 결정된 평양 대동강수산물식당 전경. 유투브 영상 갈무리.

문재인 대통령 베이징, 하노이 이어 평양서도 ‘대중식당 외교’
김정은 위원장이 이름 짓고 지난 7월 말 개장

정상회담 이틀째인 19일 만찬 장소로 결정된 평양 대동강수산물식당 전경. 유투브 영상 갈무리.
대동강수산물식당 수족관. 유튜브 영상 갈무리.
“풍치 수려한 대동강변에 현대미를 자랑하며 멋들어지게 일떠선 대동강수산물식당”(6월9일 <조선중앙통신>)

평양 정상회담 이틀째인 19일 만찬 장소가 ‘대동강수산물식당’으로 결정됐다. 7월 말 개장한 이 식당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직접 이름을 지은 곳이다. 개장 전 이곳을 시찰한 김 위원장은 “옥류관과 같이 평양을 대표하는 또 하나의 인민봉사 기지”라며 “인민들이 사철 펄펄 뛰는 물고기로 만든 수산물 요리와 가공품 봉사 받으면 좋아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동강 남쪽 강변에 배 모양으로 지어진 이 식당에는 철갑상어, 잉어, 연어, 광어 등 민물고기 및 바닷물고기 회와 초밥, 캐비어 등 수산물 가공품 등을 팔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 식당을 “철갑상어, 용정어(잉어), 조개류와 자라가 욱실거리는 실내 못과 낚시터가 꾸려져 있다”고 설명한다. 식당은 대중식사실, 가족식사실, 민족요리 식사실, 초밥 식사실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대동강수산물식당의 동양요리식사실. 유튜브 화면 갈무리
앞선 17일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은 19일 만찬 장소와 관련해 “어떤 식당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평양 시민들이 자주 가는 식당에서 가급적 만찬을 하게 되길 희망합니다”라고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중국 국빈방문 당시 베이징의 조식 전문점인 ‘용허셴장’에서 빵 등으로 식사를 하고 현지 시민들과 담소를 나눴다. 베트남을 국빈방문했던 지난 3월에도 하노이 시내의 유명 쌀국수 체인점인 ‘포 텐 리꾹수’에서 식사를 했다.

문 대통령의 ‘대중식당 외교’는 베이징 방문 당시 ‘혼밥’ 논란을 부르기도 했지만, 지금은 ‘트레이드 마크’처럼 자리 잡았다.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

[화보] 2018 평양 남북정상회담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