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6.09 14:25
수정 : 2019.06.09 15:25
|
김연철 통일부 장관(오른쪽)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4월25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남북정상선언 이행추진위 회의에 참석하려고 입장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
9일 KBS ‘일요진단’ 출연
대북 식량 지원 관련 “일단 국제기구 통한 지원 검토”
|
김연철 통일부 장관(오른쪽)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4월25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남북정상선언 이행추진위 회의에 참석하려고 입장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4차 남북정상회담 추진 문제와 관련해 “낙관도 비관도 하기 어려운 국면”이라고 9일 밝혔다.
김연철 장관은 이날 오전 <한국방송> ‘일요진단’에 나와 “하노이 회담 이후에 북미 정상회담 재개가 굉장히 중요하고, 그런 차원에서 (문재인) 대통령께서도 남북정상회담을 제안한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김 장관은 이달 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 이전에 ‘원포인트’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면 최적의 타이밍이라는 지적에는 “물론 그 전에 하면 제일 좋을 것 같다”면서도 “그런 낙관을 하기에는 상황이 녹록지는 않다”고 답했다. 그는 “대통령께서 (남북) 정상회담을 제안한 직접적인 목적은 북미 정상회담 성사”라며 “조기에 북미 정상회담을 재개하기 위해 정부는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는 시기”라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북미협상은 산 하나를 넘는 게 아니고 그야말로 산맥을 넘는 것”이라고 강조한 뒤 “(북-미 사이에) 구체적 사안들에 대해서는 차이가 존재하지만, 큰 틀에서 공통점을 조금씩 모아가는 과정”고 말했다.
김 장관은 대북 식량 지원 문제와 관련해선 “지금은 일단 국제기구를 통한 지원 부분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지원 품목이 쌀이냐 곡물이냐’는 질문에, ”우리가 남는 쌀이 130만t 정도 된다. 남는 쌀의 창고보관료만 1년에 4800억원 이상을 지출하고 있다"며 "이런 부분을 종합적으로 국민들도 고려해주시면 고맙겠다"고 에둘러 답했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