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6.14 17:03 수정 : 2019.06.14 17:11

14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정문 앞에서 통일 관련 시민단체 겨레하나 주최로 열린 금강산관광 재개를 위한 ‘가자 금강산! 6150명 방문신청 기자회견’에서 조성우 겨레하나 이사장(마이크 잡은 이)을 포함한 참가자들이 ‘우리가 금강산 열자’ 등의 손팻말을 들고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세민주동문회 261명, 광복절 금강산 등반대회 신청
‘겨레하나’도 각계 시민 6150명 금강산 방문 신청
6·15공동선언 19돌 계기 ‘금강산관광 재개’ 압박 차원

14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정문 앞에서 통일 관련 시민단체 겨레하나 주최로 열린 금강산관광 재개를 위한 ‘가자 금강산! 6150명 방문신청 기자회견’에서 조성우 겨레하나 이사장(마이크 잡은 이)을 포함한 참가자들이 ‘우리가 금강산 열자’ 등의 손팻말을 들고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6·15 남북공동선언 19돌을 하루 앞둔 14일 각계의 ‘금강산 방문 신청서’가 통일부에 무더기로 제출됐다. 현역 국회의원 7명을 포함한 ‘연세민주동문회원 261명’이 이날 통일부에 8·15 광복절 때 금강산에 가겠다며 신청서를 냈다. 통일 관련 시민단체인 겨레하나도 각계 시민 6150명의 금강산 방문 신청서를 통일부에 제출했다.

연세민주동문회(연민동)는 “8·15 광복절 맞이 등반행사를 금강산에서 열고자 한다”며 북쪽에 초청장 발송을 요청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금강산 방문 신청서’를 통일부에 제출했다. 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를 지낸 우상호·우원식 의원을 포함해 김성환·송영길·안호영·이규희(이상 민주당)·김종대(정의당) 등 모두 7명의 현역 국회의원이 신청자에 들어 있다.

‘연민동’은 “민간의 금강산 방문은 대북 제재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 단체가 금강산 방문 신청을 함으로써 중단된 남북교류에 물꼬를 트고자 한다”며 “민간 차원의 남북 교류를 활성화해 남북 긴장완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시민운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광복절 맞이 금강산 방문이 양측 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지 못해 무산된다면, 더 많은 다른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해 함께 방북 신청서를 제출하는 등 남북 민간교류의 물꼬를 트기 위한 시도를 계속해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연민동’은 1987년 연세대 학생인 고 이한열 열사의 장례를 계기로 전국 대학 최초로 만들어진 민주동문회로 회원은 1500여명이다.

겨레하나도 이날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정문 앞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첫 정상회담 한돌인 4월27일부터 모은 전국 각계 시민 7512명의 ‘금강산 방문 신청서’ 가운데 6150명분의 신청서를 통일부에 접수하려 한다고 발표했다. 이연희 겨레하나 사무총장은 “금강산은 남북교류의 상징이자 한반도 평화의 상징”이라며 “금강산관광 재개는 남북공동선언을 이행하는 첫걸음인 만큼 국민들의 힘을 믿고 결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사무총장은 “남북의 특수한 관계를 고려해 남북관계에 관한 모든 분야에서 ‘대북 제재 예외’가 인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의 ‘금강산 방문 신청서’ 제출과 관련해, 통일부 당국자는 “금강산관광이 장기 중단 상황이라 금강산에 개별 방문하려면 북쪽의 초청장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북쪽 초청장이 없으면 방북 승인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다만 정부는 승인 여부와 별개로 일단 이들의 방문 신청서는 접수하는 쪽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강산관광은 2008년 7월11일 관광객 박왕자씨 피살 사건으로 중단됐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해 ‘9·19평양공동선언’에서 “조건이 마련되는 데 따라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사업을 우선 정상화”하기로 합의했으나, 유엔·미국의 고강도 대북 제재 탓에 아직 재개하지 못하고 있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