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7.10 14:31
수정 : 2019.07.10 14:40
|
정경두 국방부 장관,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 등이 10일 경기도 평택 ‘캠프 험프리스’에서 ‘한미동맹 상징조형물’ 제막식을 마친 뒤 주탑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
6·25전쟁, 연합사 창설 등 한미동맹 발전과정 담아
높이 5m 대형 주탑은 인천상륙작전 형상화
정경두 국방장관·에이브럼스 연합사령관 등 참석
|
정경두 국방부 장관,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 등이 10일 경기도 평택 ‘캠프 험프리스’에서 ‘한미동맹 상징조형물’ 제막식을 마친 뒤 주탑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
경기 평택에 있는 주한미군 기지 ‘캠프 험프리스’에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상징하는 대형 조형물이 들어섰다. ‘함께하는 내일, 아름다운 동행’을 주제로 한 이 조형물은 인천상륙작전과 한미연합사령부 창설, 주한미군사령부 평택 이전 등 6·25전쟁 이후 한미동맹의 발전 과정을 형상화했다.
국방부와 주한미군사령부·주한미국상공회의소는 10일 오전 캠프 험프리스에서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박한기 합참의장,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 로버트 에이브럼스 한미연합사령관,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한미동맹 상징 조형물 제막식’을 열었다. 높이 5m의 주탑을 비롯해 4개 부분으로 구성된 이 조형물은 주한미국상공회의소에서 미국 육군성에 기부한 것이다.
|
10일 경기도 평택 험프리스 기지에 세워진 ‘한미동맹 상징조형물’. ‘함께하는 내일, 아름다운 동행’을 주제로 한미 장병들이 협력해 역경을 극복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주탑을 비롯해 4개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국방부 제공
|
인천상륙작전을 형상화한 주탑은 두 나라 군인들이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며 험난한 역경을 이겨내는 모습을 담았다. 주탑 옆에는 6·25전쟁 이후 한미동맹의 발전 과정을 담은 ‘역사의 벽’과 육·해·공군 및 해병대를 상징하는 조형물이 들어섰다. 바닥에는 6·25전쟁과 정전협정 조인, 한미연합사령부 창설, 주한미군사령부 평택 이전 등 한미동맹의 주요 역사를 보여주는 ‘역사의 시계’와 6·25전쟁의 주요 격전지 등을 표시한 한반도 모양의 조형물이 설치됐다.
캠프 험프리스는 주한미군사령부가 서울 용산을 떠나 새로 둥지를 튼 곳으로, 외국에 있는 미군기지 가운데 단일기지로는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크기가 여의도 면적의 5배인 1467만7천㎡(444만평)에 이른다. 국방부는 “이 조형물은 주한미군이 용산에서 평택으로 이전한 것을 기념하는 뜻도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유강문 선임기자
moon@hani.co.kr
광고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