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9.16 16:39 수정 : 2019.09.16 16:49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6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연철 통일부 장관.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비공개 친서 전달’ 보도엔 “확인해 드릴 위치에 있지 않아”
외교부 “8월10일 트럼프 대통령이 공개한 친서에 대한 것”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6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연철 통일부 장관.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16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보낸) 그러한 친서가 얼마 전에 있었다는 것은 저희가 미국 측으로부터도 상세히 들었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나와 원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언론 보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한테 최근에 3차 북-미 정상회담과 평양 초청 의사를 전달했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내용을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이는 ‘김정은 비공개 친서 트럼프 평양에 초청’이라는 제목의 이날치 <중앙일보> 1면 머리기사와 관련한 문답이다. <중앙일보>는 김 위원장이 “광복절이 포함된 지난달(8월) 셋째주”에 친서를 보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8월9일(현지시각) 받았다고 공개한 “3쪽짜리 아름다운 친서”와 별개의 비공개 친서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강 장관은 “편지에 뭐가 담겼는지, 편지가 언제 갔는지 등은 저희가 확인해드릴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고 단서를 달아, 원 의원의 질의에 대한 자신의 답변이 <중앙일보> 보도 내용을 확인하는 것인지는 명확히 하지 않았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혔다. 반면 다른 정부 고위 관계자는 “최근에 트럼프 대통령이 공개하지 않은 김정은 위원장의 비공개 친서가 있다는 얘기를 들어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사실상 ‘비공개 친서’는 없었다는 얘기다.

강 장관의 국회 답변을 두고 논란이 일자 외교부는 “강 장관의 16일 외통위 답변 내용은 8월10일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를 통해 공개한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에 대한 것”이라며 “모 언론이 오늘 보도한 김 위원장의 트럼프 대통령 평양 초청 친서와 관련해서는 확인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중앙일보>의 ‘평양 초청 친서’ 보도의 사실 여부와 별개로,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1·2차 북-미 정상회담과 6·30 판문점 만남 때 서로를 평양과 워싱턴으로 초청하고 싶다고 거듭 공개적으로 밝혔다. 북쪽 <노동신문>은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 때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과 “새로운 상봉을 약속”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제훈 박민희 기자 nomad@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