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9.18 15:04 수정 : 2019.09.18 15:06

한국전쟁 당시 강원도 철원 비무장지대(DMZ) 내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전사했다가 66년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온 고 남궁선 이등중사(병장) 유해가 18일 대전 현충원에 안장됐다. 국군 장병들이 고인의 유해를 묘역으로 옮기고 있다. 대전/연합뉴스

‘비무장지대 화살머리고지’서 발견된 고 남궁선 이등중사 유해
18일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

한국전쟁 당시 강원도 철원 비무장지대(DMZ) 내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전사했다가 66년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온 고 남궁선 이등중사(병장) 유해가 18일 대전 현충원에 안장됐다. 국군 장병들이 고인의 유해를 묘역으로 옮기고 있다. 대전/연합뉴스

지난 4∼5월 비무장지대(DMZ)에 있는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발굴돼 신원이 확인된 고 남궁선 이등중사의 유해가 18일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됐다.

강원도 홍천 출신으로 23살의 나이에 입대했던 남궁선 이등중사는 제2사단에 배속돼 강원도 김화 일대 저격능선 전투 등에 참여했다. 남 이등중사는 특히 1953년 6월 6·25 최대 격전지 중 한 곳으로 불리는 강원도철원에 있는 화살머리고지 일대 전투에 투입돼 중공군과 사투를 벌였다.

두 차례에 걸친 접전 끝에 고지를 지켜냈지만, 전투가 끝나기 전인 7월 9일 전사했다. 고인의 유해는 지난 4월 12일 우측 팔이 먼저 발견됐고, 이후 발굴지역 확장을 통해 5월 30일에야 완전 유해로 최종 수습됐다.

고인의 동생(84)을 비롯한 유가족이 헌화하고 있다. 대전/연합뉴스

이날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안장식은 서욱 육군참모총장 주관으로 엄수됐다. 유가족과 박삼득 보훈처장, 노규덕 국가안보실 안보전략비서관, 이남우 국방부 인사복지실장, 장광선 2사단장을 비롯해 장병과 보훈단체 회원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고인의 아들인 남궁왕우 씨는 “사진으로만 만나 뵈었던 아버지를 만나게 해 준 국가와 우리 군에 감사드린다”며 “목숨을 바쳐 조국을 구한 전투영웅의 아들이라는 점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서욱 육군참모총장이 유가족에게 거수경례하고 있다. 대전/연합뉴스

박삼득 국가보훈처장은 추모사를 통해 “우리 정부와 국민은 수많은 전투 영웅의희생과 공헌을 잊지 않고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고, 서욱 육군참모총장도 조사를 통해 “호국영웅의 값진 희생으로 대한민국은 지금의 자유와 행복을 지켜낼 수 있었다”고 추모했다.

서 총장은 “9·19 군사합의로 비무장지대 내 유해발굴이 가능했기에 남궁선 이등중사의 이름을 찾아드릴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13만 3천여 호국영웅들이 가족의품으로 조속히 돌아갈 수 있도록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안장식에는 ‘유해발굴’을 소재로 한 2019 육군 창작 뮤지컬 ‘귀환’(부제:그날의 약속) 출연 장병들도 참석해 고인의 숭고한 넋을 추모했다고 육군은 전했다.

‘화살머리고지 전투영웅’의 안장식은 지난 3월 엄수된 고 박재권 이등중사의 안장식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서욱 육군참모총장이 헌화하고 있다. 대전/연합뉴스

18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국군 장병들이 고인의 유해를 묘역으로 운구하고 있다. 대전/연합뉴스

고인의 영정 앞에 촛불이 밝혀져 있다. 대전/연합뉴스

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