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미군기지 경계벽 논란
“소파 환경 규정 개정하고
미군기지 환경오염 원상회복 명시해야”
주한미군 사건 터질 때마다
정보 접근 막혀 해결 쉽잖아
“환경 오염 사고 통보 의무화
사고현장 조사권 보장받아야”
2016년 말부터 주한미군이 경기 평택 오산미공군기지(K-55) 주변에 높이 3m의 콘크리트 경계벽을 쌓기 시작했다. 2017년 장마철이 시작되기 전 미군기지 근처 주민들은 콘크리트 장벽이 폭우 때 빗물의 흐름을 막아 침수피해 위험이 있다고 민원을 제기했다.
평택시는 주한미군과 2차례 회의를 하고 경계벽 근처 현장 조사를 했다. 회의 결과, 양쪽은 기존 배수관은 침수 우려가 있어 개선이 필요하고 우수관을 확대해야 한다고 합의했다. 하지만 누가 책임지고 공사할지를 놓고 주한미군과 평택시의 의견이 갈렸다. 주한미군은 기지 밖의 문제이므로 평택시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태도였다.
평택시는 2017년 7월4일 오산미공군기지 쪽에 빗물 유입처리 개선사항에 대하여 협조를 요청하고, 조치 계획과 의견을 회신해 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평택시가 공문을 보내고 12일 뒤인 7월16일 새벽 오산미공군기지 인근 서탄면 장등리 마을이 폭우에 침수됐다. 이후 주민과 평택시는 “재발 방지를 위해 배수관 개선 공사를 해야 한다”고 주한미군에 다시 요구했다. 하지만 후속 대책이 먀련되지 않은 가운데 1차 피해 보름 뒤인 7월31일 폭우로 2차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 |
지난 2017년 7월16일 새벽 쏟아진 폭우에 경기 평택 오산미공군기지 신축 콘크리트 경계벽 일대 마을이 침수됐다. 평택평화센터 제공
|
![]() |
지난 2017년 7월16일 새벽 쏟아진 폭우에 경기 평택 오산미공군기지 신축 콘크리트 경계벽 일대 마을이 침수됐다. 평택평화센터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