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라구치 고이치 일본쪽 수교협상 대사는 ‘과거 청산’ 방식과 관련해 식민지 강점기간 발생한 손해에 대해 무상 자금협력과 저리 장기 차관 제공, 국제기구를 통한 인도적 지원 등 ‘경제협력’ 방식을 통해 일괄 해결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송일호 북한쪽 수교협상 대사는 ‘경제협력’이라는 모호한 방식으로는 과거 청산을 할 수 없으며, 식민지 강점기에 대한 ‘손해배상’이라는 성격을 분명히 밝힐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송 대사는 또 기자들과 만나 식민지 과거 청산을 위해서는 식민지 시대에 약탈해간 문화재 반환을 포함해 손해배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북쪽 관계자는 “일본이 도굴 등을 통해 약탈해 간 조선의 문화재가 일본 각지의 박물관에 전시돼 있는 것을 현지 확인해 일본쪽에 이미 반환 대상 문화재의 목록을 넘긴 상태”라고 전했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이날 북한 관계자의 말을 따, 북한 쪽이 강제연행이나 일본군위안부 문제 등은 식민지 시절의 특대형 인권유린범죄로, 재산청구권과 따로 다뤄야 할 문제라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강제연행과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보상 문제가 국교정상화 협의의 또다른 쟁점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북·일 협상대표단은 7일 핵과 미사일 등 안전보장 문제에 관해 논의한 뒤 8일 협상을 마칠 예정이다.
베이징 도쿄/이상수 박중언 특파원 leess@hani.co.kr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