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도높아 늦어질수도…만일사태 대비 경비함 호위
일본 ‘EEZ 빌미’ 보안청 순시선 파견 대응 방침
정부는 해류조사를 위한 해양조사선 해양2000호의 독도 해역 진입을 애초 계획보다 앞당겨 이르면 5일 실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한국 해양조사선이 독도 해역에 진입할 경우 해상보안청 순시선을 독도 해역에 보내 무선과 확성기를 통해 조사 중단을 요청키로 하는 등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교도통신>이 4일 보도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해양조사선을 나포하는 등 물리적 방법은 동원하지 않을 방침이다.한국 정부 당국자는 “해류조사 선박인 해양2000호는 부산을 출발해 연안해역을 따라 묵호까지 북상한 뒤 울릉도, 독도 방향으로 방향을 돌릴 것으로 운항계획이 잡혀 있다”며 “이 경우 5일께 일본이 주장하는 배타적 경제수역(EEZ)선 동쪽으로 진입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5일 울릉도-독도 부근 해역은 4m의 높은 파도가 칠 것으로 예보돼 해양조사선의 실제 조사 착수는 다소 늦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정부는 3일부터 17일까지인 동해 해류조사 기간 중 11~12일 사이에 독도 주변 수역에 진입해 조사를 벌일 계획이었지만 3일 출항 직전에 독도 주변에 조기 진입하는 쪽으로 방침을 바꾼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시간이 지날수록 이번 조사에 대한 두 나라 여론의 관심이 커질 것이 분명한만큼 독도 주변 수역을 먼저 조사하는 것이 갈등의 불필요한 확산을 최대한 줄이는 길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를 위해 7개 해류조사 지점 가운데 일본이 주장하는 배타적 경제수역 안쪽에서 실시하는 4개 지점에서는 해양조사선이 정선하지 않은 채 지나가면서 조사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해경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해양2000호가 울릉도-독도 중간선을 넘어 동쪽 해역으로 진입하는 순간부터 삼봉호(5천t) 등 경비함 2척을 동원해 조사 중단을 요청할 것으로 보이는 일본 순시선에 대응하며 해양2000호를 근접호위할 계획을 세워 놓고 있다.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도 독도 주변 해류조사로 한-일간 긴장이 고조될 경우 이를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 애초 5~10일로 예정됐던 중미 방문 일정을 이날 전격 연기했다.
이제훈 조홍섭 기자, 도쿄/연합뉴스 nomad@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