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9.05 20:21 수정 : 2006.09.06 13:50

동북공정사무소가 있는 베이징의 중국사회과학원 산하 중국변강역사지리연구중심.

중, 동북공정 왜 나섰나

‘동북공정’은 주변 나라들과 오랜 영토 분쟁을 겪어온 중국이 자국의 동북지역(만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영토·국경 분쟁 등에 대처하기 위한 국책 연구를 말한다. 동북공정은 공식적으로는 2002년 2월 국무원 직속 두뇌집단인 중국사회과학원 중국변강역사지리연구중심이 주축이 돼 랴오닝성·지린성·헤이룽장성 등 동북 3성의 지방정부 사회과학원과 함께 베이징에 ‘동북공정 사무실’을 열면서 시작됐다. 동북공정 사무실은 이후 고조선에서 청나라 시기 청-조선 변경 문제에 이르기까지 모두 27가지의 역사 문제 관련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들 역사 연구는 동북지역에 존재했던 역대 정권이 모두 중국의 속국이거나 소수민족 지방정권이라는 시각을 전제로 하고 있다.

중국이 이런 대규모 국책 사업을 진행하게 된 동기에 대해 ‘동북공정 전문가위원회’는 “일부 국가의 연구기관과 학자들의 역사 왜곡”과 “소수 정치가들의 황당무계한 논리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남북한의 연구자들과 정치가들이 중국 동북지역의 역사를 한국사로 규정하는 것은 물론, 일부 인사들이 “옛 고구려 영토 회복” 등을 주장하는 데 자극을 받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북한의 붕괴 등으로 한반도 통일정권이 출현한 뒤 고조선·고구려·발해의 옛 영토이던 만주 지역에 대한 영토분쟁을 일으킬 것에 대비하려는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이들 나라가 중국사의 일부분이자 중국 중앙정권의 속국·지방정권이었다는 논리를 학술적으로 미리 뒷받침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