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9.15 02:31 수정 : 2006.09.15 07:20

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부시 대통령이 14일(한국시각 15일 새벽) 워싱턴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부시 “6자회담에 대한 의지 재확인”
노대통령 “제재 말할 단계 아니다”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은 14일(한국시각 15일 0시) 워싱턴 백악관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마친 뒤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6자회담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노무현 대통령은 대북 제재 문제에 대해 “한국은 이미 북한에 대해 사실상 제재 조처를 취하고 있고, 국제사회와 미국도 그러하다. (지금은) 새삼스럽게 제재를 말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두 정상은 또 북핵 문제의 해결을 위해 두 나라가 협의해 온 ‘공동의 포괄적 접근 방안’을 6자 회담 참가국들과 함께 만들어 가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백악관의 대통령 집무실인 오벌오피스에서 업무오찬을 포함한 약 2시간 동안 진행한 정상회담에서 북한 미사일 발사 이후 상황을 점검하고, 북핵 문제 등에 관한 향후 대응 방안을 협의한 뒤 이렇게 합의했다고 언론 브리핑에서 밝혔다.


부시 대통령은 “한-미 관계는 강력한 관계란 점을 말할 수 있다”며 “우리는 북한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6자회담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6자 회담 재개를 위한 방안을 한-미가 실무적으로 협의 중”이라며 “그러나 내용이 아주 복잡하고 완결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한국 쪽의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 송민순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 미국 쪽의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과 스티븐 해들리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2+2 고위급 실무협의’를 열어, “양국이 공동으로 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조합해서 해법을 찾아내는 노력”을 협의했다고 송 실장이 밝혔다.

부시 대통령은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논란과 관련해 “미국은 한반도 안보에 여전히 책임을 지고 있다”며 “병력 주둔 규모와 이동시기는 한국 정부와 협의해 결론을 내리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 문제가 정치적 문제가 돼선 안된다”라며 “전시 작통권 문제는 미 국방장관과 한국 상대가 대화를 나누고 협의를 통해 적절한 날짜를 정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기문 외교부 장관은 전시 작통권 이양 시기와 관련해 <워싱턴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근본적인 변화는 불확실의 기간을 오래 두지 말고 가능한 한 빨리 이뤄지는 게 좋다”고 말했다.

노대통령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후 (북한에) 제공키로 했던 쌀과 비료를 제공하지 않기로 결정해 놓은 상황은 사실상 제재나 다름없으며, 유엔의 대북 결의에 따라 각국이 조처를 취하고 있고, 미국은 자체 제재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날 정상회담에 앞서 노 대통령은 헨리 폴슨 미 재무장관을 접견했다.

이제훈 기자, 워싱턴/신승근 기자 nomad@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

전체

정치

사회

경제

지난주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