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6.09.15 03:14
수정 : 2006.09.15 03:14
노대통령, 폴슨 재무장관 만나 금융제재 탄력대응 주문한듯
“미국의 법집행과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 (재개)노력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 방문 이틀째인 13일 오후 (한국시각 14일 새벽) 노무현 대통령은 숙소인 영빈관에서 헨리 폴슨 미국 재무장관을 만나 이렇게 밝혔다. 이 말은 노 대통령과 한국정부가 지난해 9·19 베이징 공동성명 이래 미국 쪽에 일관되게 밝혀왔던 입장이다.
이 자리가 폴슨 장관이 미국의 대북 금융제재를 설명하는 자리인지, 노 대통령이 이른바 미국의 법 집행을 총괄하는 책임자를 설득하는 자리였는지는 분명치 않다. 그러나 이 말만을 놓고 보면 후자 쪽이다.
정부 쪽 설명을 들어보면, 폴슨 장관이 대북 강경론자는 아니며 폴슨 장관의 관심은 경제·금융 문제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 점에서 이날 면담은 폴슨 장관이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의 북한계좌 동결 등 대북 금융제재 조처에 대한 미국 쪽의 입장을 설명하고, 한국 쪽이 미 재무부에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탄력적인 대응을 주문하는 자리였을 가능성이 크다.
정부 발표를 봐도 이날 면담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문제와 국제통화기금(IMF) 개혁 등 한-미 양국의 경제관계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교환이 주를 이뤘다.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한-미 자유무역협정에 대해 폴슨 장관이 매우 적극적인 견해를 보였다고 전했다. 폴슨 장관은 “세계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무역자유화가 더욱 확대돼야 한다”며 “현재 진행 중인 한-미 자유무역협정이 성공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노 대통령은 폴슨 장관의 평가에 공감을 표시하고,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두 나라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다줄 뿐 아니라, 한-미 관계를 한 차원 격상시키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또 노 대통령과 폴슨 장관은 국제통화기금 개혁, ‘아세안+3(한·중·일)’ 금융협력 등 한-미 양국이 국제사회에서 경제분야 협력을 긴밀히 해 왔음을 평가하고, 이를 지속·확대할 필요성에 견해를 같이 했다. 워싱턴/신승근 기자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