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0.10 00:01 수정 : 2006.10.10 00:01

반기문(潘基文) 외교통상부 장관이 유엔 사무총장 지명자로 결정되면서 한국인의 국제기구 진출이 활발해질 것인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의 외교 소식통들은 9일 "한국인이 과다하게 진출하려 한다는 인상을 주지않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대륙 순번 원칙에 따라 반 장관이 사실상 '아시아 대표'로 사무총장직을 맡게 된 만큼 가급적 한국인의 국제기구 고위직 진출은 다소 '자제하는 모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 외교 소식통은 "유엔은 국제 공무원 조직인만큼 각국의 유엔 분담금 규모에 맞춰 `적정 수준'이라는 지표를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만 '특별대우'를 받을 수 없다는 설명이다. 분담금 규모 등을 감안해 현재 적용받는 수준이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는 얘기다.

200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유엔 분담금 11위,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10위에 랭크돼 있으며 유엔의 일원으로서 동티모르 독립과 이라크 재건 지원을 위해 대규모 파병과 무상 원조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반 장관의 유엔 사무총장 진출로 한국의 국제적 위상과 국가브랜드가 크게 높아지는 만큼 다른 분야의 '혜택'은 당분간 자제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오히려 반 장관이 '유엔의 사령탑'에 오른 만큼 반 장관이 정식 임명된 직후에는 '의도적인 자제'로 인해 한국인의 국제기구 진출이 '위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반 장관이 원활한 사무총장직 수행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보좌인력'이 유엔 사무국에 진출할 가능성은 있다.


이에 대해 한 정부 관계자는 "몇몇 분들이 반 장관을 돕기 위해 유엔에 함께 갈 수 있다"면서 "이 경우 해당 공무원은 휴직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한편, 반 장관이 유엔 사무총장이 될 경우 한반도를 둘러싼 현안인 북핵 사태에 대해 다른 나라 인사에 비해 보다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에 대해서도 이 관계자는 "사무총장의 역할과 임무는 모든 회원국으로부터 위임받은 만큼 한국 외교장관의 임무와 다르다"고 말했다.

서동희 기자 dhsuh519@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