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7.07.03 00:09
수정 : 2007.07.03 00:09
재외공관도 10곳 신설…인력 197명 증원 추진
외교통상부가 3개 국, 8개 과를 늘리는 대대적 조직 개편을 한다. 대사관 등 재외공관 10곳이 신설되고, 인력도 197명 증원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2일 이런 내용의 직제 개편안을 마련해 3일 국무회의에 상정한다고 밝혔다. 이 안은 지난달 28일 차관회의를 통과했으며, 국무회의 의결을 거치면 곧바로 시행된다.
이를 보면, 외교부는 우선 아시아·태평양국을 동북아국 및 남아시아·대양주국으로 나눈다. 또 개발원조(ODA)국과 한반도평화교섭본부 산하 평화체제기획단을 신설한다. 동북아국과 남아시아·대양주국엔 각각 지역정책과와 지역협력과가 신설된다. 특히 동북아 지역정책과는 탈북자 정책과 동북아 협력체제, 한-중-일 3국간 고위급 협의 등의 구상과 집행을 담당한다. 또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실무를 담당할 평화체제기획단엔 평화체제과와 평화협력과가 새로 들어선다. 재외동포영사국에 재외동포제도과가, 문화외교국에 체육영상교류과가 신설되는 등 모두 8개 과가 늘어난다.
니카라과·벨로루시·크로아티아·앙골라·투르크메니스탄·예멘에 대사관이, 두바이·밀라노·젯다·함부르크에 총영사관이 들어서는 등 재외공관 10곳도 신설된다. 이 밖에 외교정책실이 다자외교실로 개편되고, 구주국은 유럽국으로 이름이 바뀐다. 동북아 1·2과는 각각 일본과와 중국·몽골과로 실제 직무 내용을 반영해 개칭한다. 이번 개편안이 시행되면 재외공관 수는 147개로 늘어난다.
늘어나는 인력 197명은 일단 계약직으로 임용할 예정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외무고시와 7급 시험 등에 한정된 외교부의 ‘순혈주의’를 개선하기 위해 채용 경로를 다양화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또 올 상반기까지 28명의 고위직이 조기퇴직했으며, 올해 말까지 10여명을 추가로 용퇴하도록 설득해 인력구조를 실무인력 중심의 피라미드형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이 당국자는 덧붙였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