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7.26 17:46 수정 : 2008.07.26 17:46

“자세한 경위 신의 때문에 밝힐 수 없어”

정부 고위당국자는 26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의장성명이 발표됐다가 수정되면서 파문이 일고 있는 것과 관련, "의장성명이 수정되는 과정에 우리가 주도적으로 나서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우리는 지난 24일 밤에 나온 ARF 의장성명이 당초 우리의 요구수준에 미치지 못했지만 싱가포르의 입장과 남북관계 등을 고려해 수용하기로 결정한 상황이었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이 발언은 이번 파문이 북한의 강력한 요청 때문이라는 일본 교도통신 보도내용의 진위를 묻는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이 당국자는 "ARF 의장국인 싱가포르측으로부터 들은 얘기가 있으나 싱가포르와의 신의 때문에 자세한 경위를 밝힐 수 없다"면서 "알고 있는 내용이 있더라도 밝힐 수 없는 사정을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이는 사실상 이번 파동이 북한 측 요구에서 비롯됐으며 싱가포르의 수정제안을 정부가 고심끝에 수용했음을 시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앞서 교도통신은 ARF 의장성명이 나온 바로 다음날 북한에 대해 금강산 관광객 피살 사건의 조기해결을 촉구하는 문구가 삭제된 것은 북한의 강력한 요청 때문이었다고 ARF 참가국 소식통을 인용, 보도했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ARF 의장국인 싱가포르는 24일 내놓은 의장성명 최종본에 금강산 피격사건에 대한 언급과 일본의 의사를 반영한 '인도적인 우려'라는 표현을 포함시켰지만 북한이 이에 강력히 반발하자 금강산 사건 부분을 삭제했다. 일본이 자국인 납북자 문제를 감안해 요구한 '인도적인 우려'라는 표현은 한반도 정세와는 다른 단락으로 옮겨졌다.

싱가포르는 또 남북간 균형을 맞추기 위해 북한이 요구한 '10.4 남북정상선언에 입각한 남북대화 진전을 지지한다'는 문구도 삭제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이우탁 기자 lwt@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