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 독도는 리앙쿠르암으로 계속 표기된다. --BGN이 홈페이지에 이와 같은 내용을 수정했나. ▲현재 작업중인 것으로 안다. --미국 정부가 이처럼 신속히 조치를 취한 배경은. ▲부시 대통령이 이미 이 문제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얘기했고 국무장관에게 이를 재검토토록 지시했다. 사안의 중대성과 시급성을 감안해 협의를 거친 뒤 신속하게 결정한 것이다. --`영유권 미지정 지역(UU)' 카테고리가 아예 없어지는 것인가. ▲UU 코드는 남아 있지만 독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향후 대책은. ▲한국 외교의 목표는 1977년 이전으로 돌아가 독도의 고유 명칭을 회복하는 것이다. (워싱턴=연합뉴스)
|
|
이태식 주미대사 “이제 목표는 ‘독도’ 명칭 되찾는 것” |
이태식 주미대사는 30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미국 지명위원회(BGN)의 독도 표기 변경을 원상회복토록 조치한 데 대해 "사안의 중대성과 시급성을 인식해 신속히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사는 이어 "이번 조치로 독도의 한국 영유권은 일단 유지되겠지만 독도 명칭은 `리앙쿠르암'으로 계속 남게 된다"면서 "이제 한국 외교의 목표는 지난 1977년 이전으로 돌아가 `독도'의 고유 명칭을 찾는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백악관으로부터 언제 통보를 받았나.
▲오늘 오후 2시30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제임스 제프리 부보좌관으로부터 전화통보를 받았다.
--백악관 통보내용은.
▲독도를 분규가 발생하기 이전 상태로 원상회복한다는 것이다. 부시 대통령이 직접 결정을 내렸고, 그것을 즉각 시행하기로 했다는 연락이었다. 부시 대통령이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으로부터 보고를 받은 뒤 독도 문제에 대해 이같이 결정해 통보했다.
--분규이전으로 원상회복된다면 독도는 리앙쿠르암로 여전히 표기되는 것 아닌가.
▲그렇다. 독도는 리앙쿠르암으로 계속 표기된다. --BGN이 홈페이지에 이와 같은 내용을 수정했나. ▲현재 작업중인 것으로 안다. --미국 정부가 이처럼 신속히 조치를 취한 배경은. ▲부시 대통령이 이미 이 문제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얘기했고 국무장관에게 이를 재검토토록 지시했다. 사안의 중대성과 시급성을 감안해 협의를 거친 뒤 신속하게 결정한 것이다. --`영유권 미지정 지역(UU)' 카테고리가 아예 없어지는 것인가. ▲UU 코드는 남아 있지만 독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향후 대책은. ▲한국 외교의 목표는 1977년 이전으로 돌아가 독도의 고유 명칭을 회복하는 것이다. (워싱턴=연합뉴스)
▲그렇다. 독도는 리앙쿠르암으로 계속 표기된다. --BGN이 홈페이지에 이와 같은 내용을 수정했나. ▲현재 작업중인 것으로 안다. --미국 정부가 이처럼 신속히 조치를 취한 배경은. ▲부시 대통령이 이미 이 문제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얘기했고 국무장관에게 이를 재검토토록 지시했다. 사안의 중대성과 시급성을 감안해 협의를 거친 뒤 신속하게 결정한 것이다. --`영유권 미지정 지역(UU)' 카테고리가 아예 없어지는 것인가. ▲UU 코드는 남아 있지만 독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향후 대책은. ▲한국 외교의 목표는 1977년 이전으로 돌아가 독도의 고유 명칭을 회복하는 것이다. (워싱턴=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