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12.08 19:13 수정 : 2008.12.09 01:31

8일 오후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에서 남북한과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등 6개국 수석대표들이 참가한 북핵 6자회담이 열리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중 ‘구동존’이 전략 구사
‘동북아체제 기본 원칙’ 합의
북 “일본 자격 없다” 비난

6자 회담 수석대표회의 개막일인 8일 각국 대표단은 하루종일 바쁘게 움직였다. 애초 이날 오후 3시(현지시각) 베이징 조어대에서 열릴 예정이던 개막식 일정도 1시간 30분 남짓 늦추며 다각적인 접촉을 벌였다. ‘검증의정서 문서화’ 등 이번 회의 주요 의제와 관련한 절충 방안 모색을 위한 각 측의 수읽기이자 ‘편 짜기’인 셈이다.

이번 회담의 쟁점과 구도는 의장국인 중국의 전체회의 진행 방식에 오롯이 담겨 있다. 우다웨이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이날 오후 조어대에서 열린 전체회의 기본발언에서 △검증 문제 △비핵화 2단계 마무리 △동북아 평화안보체제 등 세 가지를 주요 의제로 제기했다. 그러나 정작 의제별 토의는 셋째인 동북아 평화안보체제 문제부터 거꾸로 진행했다. “이견은 일단 미뤄두고 의견을 함께하는 분야부터 협력한다”는 저우언라이 전 중국 총리의 ‘구동존이’(求同存異) 전략 그대로다.

동북아 평화안보체제는 실무그룹회의 의장국인 러시아가 그간 논의 성과를 압축·요약한 ‘기본 원칙’을 발표해 참가국 모두의 동의를 얻었고, 내년 초 관련 실무그룹회의를 열기로 쉽게 의견을 모았다.

북핵시설 불능화 등에 맞춘 대북 경제·에너지 지원도 실무그룹회의 의장국인 한국이 내년 3월 말까지 완료하자는 새 일정표를 제시했고, 역시 쉽게 참가국들의 의견이 모였다. ‘일본인 납북자’문제를 이유로 일본이 참여를 유보하고 있는 중유 20만t 상당의 경제·에너지 지원도 국제모금 방식으로 대리 지원하는 방식에 뜻을 모았다. 북쪽은 6자 회담 참여 자격이 없다며 일본을 비난했지만, 이 방안엔 동의했다.

문제는 그 다음부터다. 한국·일본 등은 검증의정서 채택과 불능화, 경제·에너지 지원이 포괄적으로 연계돼 있다는 주장을 폈다. 이번 회의에서 검증의정서를 채택하지 못하면 대북 경제·에너지 지원도 계획대로 진행할 수 없다는 의지의 피력이다. 특히 한국 수석대표인 김숙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이날 밤 베이징 켐핀스키호텔에서 진행된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포괄적 연계 방침’을 공개적으로 거듭 강조하며 검증의정서 채택과 관련한 한국 정부의 강경한 태도를 숨기지 않았다.

하지만 남쪽의 이런 강경 기조는 그나마 ‘남북 대화’가 이어지고 있는 6자 회담장에서마저 북쪽의 반발을 불러오며 남북 대결 국면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실제 북쪽은 남쪽의 ‘포괄적 연계’ 방침 언급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회담 관계자가 전했다.

관건은 핵심 의제이자 참가국간 이견이 심한 검증의정서 채택과 관련한 협의가 어떻게 풀리느냐다. 일단 북쪽은 중국이 9일 아침에 내놓을 검증 관련 문건을 본 뒤에 의견을 밝히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무부 차관보는 이날 전체회의 뒤 “중국은 이런 문제들을 어떻게 접근시킬지 모종의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겉으로 드러난 심각한 이견과 달리, ‘절충의 여지’는 있다는 뜻이다.


베이징/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