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2.08.10 22:13
수정 : 2012.08.10 22:37
|
|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 계획을 보도한 10일치 일본 조간 신문들
|
독도, 양국언론 보도 시간차
한, 엠바고 요청 수용하며 조용
일, 사전입수 정보 먼저 터뜨려
이명박 대통령의 전격적인 독도 방문이 이뤄진 10일 일본의 주요 조간신문들은 이 대통령의 독도행을 1면 머리기사로 일제히 보도했다. 그러나 정작 한국 언론들은 이 대통령이 독도를 향해 출발하기 전까지 이와 관련된 아무런 보도가 없어 대조를 보였다.
이는 청와대의 엠바고(일정 시점까지 보도금지) 요청과 관련돼 있다. 청와대는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 전날인 9일 오후 3시께 청와대 출입기자들을 상대로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 예정사실을 브리핑하면서 경호 등을 이유로 이 대통령이 독도 방문을 마치고 청와대로 돌아오는 10일 오후 6시까지 엠바고를 지켜줄 것을 요청했다. 애초 독도를 다녀온 뒤 언론에 공개하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대통령이 우리 땅에 가는데 비밀리에 가느냐”는 비판이 나올 것으로 판단해 국내 언론에 미리 알린 것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그런데 9일 저녁부터 주한 일본대사관 쪽과 서울 주재 일본 특파원들이 관계부처에 ‘이 대통령이 독도를 방문한다는 게 사실이냐’는 문의전화가 쇄도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9일 밤 11시40분 <교도통신>의 보도를 시작으로, <지지통신>과 <후지텔레비전>이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 예정 사실을 보도했고, 10일 아침에는 <요미우리신문>, <아사히신문>, <마이니치신문>, <산케이신문> 등 일본의 4대 종합일간지가 일제히 이 기사를 1면 머리기사로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독도 방문 배경 등 3개면에 걸쳐 관련 내용을 보도했다. 국내 언론들은 청와대의 엠바고 요청을 준수하다, 일본 언론의 보도 사실을 접하고 이를 인용보도하는 등 뒤늦게 보도에 나섰다. 결국 국내 언론의 관련 보도는 일본 언론에 비해 10시간가량 늦었다.
청와대는 10일 이 대통령의 독도행 사실이 일본 언론에 사전에 유출된 것을 놓고 경위 파악에 나섰다. 청와대는 언론 또는 정부 관계자들을 통한 유출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한국의 도쿄 주재 특파원들이 일본 정부의 반응을 미리 취재하는 과정에서 방문 예정 사실이 알려지고, 일본 정부 쪽은 이를 일본 언론에 전달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 한국 정부 관계자가 비공식적인 경로를 통해 일본 정부 또는 언론에 관련 내용을 전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부 관계자가 유출했다면 관련자는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창현 기자, 도쿄/정남구 특파원
blu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