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4.02.13 20:42 수정 : 2014.02.13 23:52

한-미외교회담 ‘과거사’ 인식차
윤병세 “일, 진정성 보여야”
남북 현안 한미 공조 과시
“박 대통령과 완전히 같다”

아시아·중동 지역 순방에 나선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13일 한국에 왔다. 지난해 4월 방한 이후 두번째 한-미 외교장관 회담을 했다. 한국과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회담한 것까지 치면, 5번째 회담이다. 그러나 이번 회담처럼 두 나라의 입장차가 그대로 노출된 경우는 드물었다. 바로 과거사 문제로 갈등하는 한-일 관계 때문이었다.

케리 장관은 이날 한-미 외교장관 회담 뒤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일 관계와 관련해 한국에 ‘과거’를 넘어서자는 메시지를 던진 반면, 윤 장관은 ‘과거’를 해결하기 위한 일본의 책임감 있는 행동을 강조했다. 케리 장관은 한-일이 과거에 얽매이면 안 되는 이유로 북한 핵을 포함한 북한의 도발과 위협을 들었다. 그는 “한-일이 역사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 의미있는 일이란 것은 이해한다”면서도 “지금 가장 시급한 문제는 안보다. 모두의 목숨이 걸린 일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의 동북아 전략틀인 한-미-일 3각 협력 체제의 차원에서 한-일 간의 화해를 촉구한 것이다.

반면 윤 장관은 최근 과거사에 대한 일본 정치인들의 퇴행적인 언행을 거론한 뒤 “일본이 이런 목소리를 경청하고 진정성 있는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한-일 관계에 필요하다”고 못박았다. 그는 최근 ‘일본-북한의 접촉설’과 관련해서도 “일본 정부가 공식 확인한 것은 아니어서 뭐라 말할 입장은 아니다”라고 단서를 단 뒤 “만약 일본이 6자회담 당사국과 사전 협의 없이 북한과 접촉하는 것은 한-미-일 간 협조나 6자회담 당사국 간 협조에도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일”이라고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한국을 방문한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이 13일 저녁 박근혜 대통령을 예방한 뒤 서울 종로구 통인시장을 찾아 떡볶이를 맛보고 있다. 바로 뒤는 성 김 주한미국대사. 연합뉴스
한-미 간의 이런 인식차는 향후 한-일 관계를 둘러싸고 한국과 미국 간 줄다리기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을 낳고 있다. 실제 케리 장관은 이날 앞으로는 “물밑 작업을 통해 해결하겠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과 박근혜 대통령, 윤 장관 등과 계속 얘기하고 앞으로 해결해 나갈 방법을 찾겠다”고 의욕을 보였다. 반면 윤 장관은 “한-일 간 대화를 위해서는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고만 말했을 뿐, 미국의 한-일 관계 개선 요구에 분명한 답변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북한 핵이나 이산가족 상봉 등 남북간 현안에 대해서는 한-미가 여전히 찰떡 공조를 과시했다. 케리 장관은 이와 관련해 여러 차례 “박근혜 대통령과 의견이 완전히 같다”고 말했다. 케리 장관은 또 박 대통령의 ‘통일 대박론’에 대해서도 “환영한다”고 밝혔다. 북한 문제에 대한 ‘중국의 역할’과 관련해선 “어떤 나라도 중국보다 북한에 영향을 끼칠 잠재력이 큰 나라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견에서는 독도가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의 범위에 포함되느냐는 질문이 나왔다. 케리 장관은 그러나 “(이런 문제에 대한) 판단에 이견이 있다. 그래서 좀더 생각해 봐야 한다”고 얼버무렸다. 중-일 간 영유권 다툼이 있는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가 미-일 방위 조약의 대상임을 확인한 것과는 사뭇 다른 태도다. 순방국 중 한국에 가장 먼저 들른 케리 장관은 14일 중국으로 떠나며, 이어 인도네시아와 아랍 에미리트를 차례로 방문한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