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7차 한중일 외교장관회의를 마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왼쪽), 윤병세 외교부 장관(가운데),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21일 서울 신라호텔 2층 다이너스티 B홀에서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3국 외교장관회의 결과 발표…실제 개최 여부는 불투명
한·일 적극적…중, 과거사 해결 안되면 ‘불가’ 간접 표명
“동북아 평화와 번영 위한 중요한 협력의 틀 같은 인식”
북핵 반대 재확인…중, 양자회담서 사드 문제 거론 않아
한중일 3국이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노력에 부분적으로 합의했다. 하지만 과거사 문제를 둘러싼 의견 차는 여전히 좁혀지지 않아 실제 개최 여부는 불투명하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대신은 21일 서울 시내 한 호텔에서 3국 외교장관 회의 뒤 함께 낸 공동언론발표문에서 “3국에게 모두 편리한 가장 빠른 시기에 3국 정상회의가 개최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3국 정상회의는 2012년 5월 이후 일본의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와 아베 신조 정부의 역사수정주의 등으로 3년 동안 열리지 못하고 있다. 개최가 성사된다면 이번 회담의 최대 성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3국은 또 “3국 장관들은 2012년 4월 이후 약 3년 만에 개최된 이번 회의를 계기로 3국 협력 체제가 복원의 길로 나아가기를 기대하고, 3국 협력 체제가 동북아 지역의 평화 안정과 번영을 위한 중요한 협력의 틀로서 계속 유지·발전돼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고 덧붙였다.
|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왼쪽), 윤병세 외교부 장관(가운데),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21일 서울 동호로 신라호텔에서 열린 3국 외교장관회의에 앞서 기념촬영을 위해 서로 손을 잡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