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분단 70년 - 다시 쓰는 징비] ‘주변 4강과 남북관계’ 전문가 제언
광복·분단 70돌을 맞은 한국 외교에 낯선 길이 펼쳐지고 있다. 성장한 국력과 위상에 맞춤한 강중국 ‘돌고래’ 외교의 길이다. 한-미 동맹 일변도의 미국 따라하기라는 냉혹한 평가를 받았던 기존 한국 외교의 틀을 넘어서는 대담함과 면밀함을 동시에 요구한다. 한국 외교 최대의 도전으로 평가되는 미-중 관계, 남북관계를 연구해온 두 전문가에게 한국 외교의 지향점으로서 강중국 외교의 작동방식에 대한 조언을 요청했다.
|
전재성 서울대 교수
|
구한말 같은 플레이어 아냐
강대국 군사게임 말려들지 않고
선제적 이슈 선점 외교 펼쳐야” 그렇기 때문에 동북아 질서가 과거 국제정치의 영역인 군사 안보에 발목이 잡히도록 놔둬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선 “강대국 간 불신이 생기지 않도록 ‘게임’의 성격을 협력적인 방향으로 한국이 이끌어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게임이 군사력 대결로 가면 구한말과 다르지 않다. 그렇게 되지 않도록 ‘아키텍처’를 만들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선 우리가 잘 할 수 있는 이슈를 찾아 주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런 성격의 대표적 이슈로는 ‘북핵’을 꼽았다. “북핵 문제는 우리의 문제이기도 하기 때문에 미·중·러·일 등 주변국을 다 모아놓고 말할 수 있다. 이 문제가 해결되는 건, 핵문제의 해결이라는 의미 뿐 아니라, 동북아 강대국 사이의 다자협력 증진, 불신 및 긴장 완화 등의 의미가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열병식 참가 등과 같이 미-중 사이에서 선택을 강요받는 상황이 닥칠 땐 어떻게 할 것인가? 전 교수는 “미-중은 스스로는 충돌을 피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주변국에는 선택을 강요하는 면이 있다. 그걸 거부하는 것도 우리에게 중요하다”며 “강대국 간 게임에 말려들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립적인 상황에서 전략적 선택을 내리기보다는, 중간 영역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많다”며 “선제적으로 이슈 선점도 하고, 말도 더 많이 하고, 요란하게 얘기하고 다니는 외교를 할 때”라고 말했다.
|
김연철 인제대 교수
|
대립의 공간 되면 할 수 있는 게 없어
국력 바탕한 협상력 커졌는데
인식은 1950년대 이승만 틀에 갇혀” 반면, “남북관계 개선을 한국이 주도할 때 미-중 사이에서 선택을 강요받을 여지도 사라진다”며 “남북이 평화정착 프로세스로 들어가면 사드는 더 이상 추진 명분이 없다”고 지적했다. 또 “미-중 간 갈등도 있지만 협력도 있을 것이고, 그 협력 공간을 비집고 들어가서 자리를 찾아야 한다. 그러려면 한반도 정세에 대한 주도력이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한국이 이미 남북관계를 주도할 수 있는 힘과 자원을 갖춘 국가로 성장했는데도, 스스로 과거 일방적으로 지원받던 1950년대의 인식에 갇혀 있는 점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승만 정부와 박근혜 정부의 대미 협상력 수준은 비교할 수 없다. 지금은 ‘미국산 소고기 수입’ 같은 다양한 레버리지를 갖고 있다. 안보에서도 1년에 38조원의 국방비를 투입하는 나라가 됐다”는 것이다. 그는 “하지만 머리는 그때와 달라진 게 별로 없다. 그러니 자기 위상과 역할이 커졌다는 걸 잊고 충분히 할 역할이 있는데도, 이승만 정부 때처럼 알아서 움츠린다”며, 달라진 위상에 걸맞게 주도적 외교에 두려움 없이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