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외교·안보·통일 분야 업무보고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사실상 ‘6자회담 무용론’ 펴며
5자회담 첫 공식 제기했지만
중·러 동의할 가능성 거의 없어
3개 부처 “북핵·북한문제 총체적 접근”
북 인권문제도 압박 나설듯
개성공단은 일단 “안정적 운영” 밝혀
“지금은 강력하고 실효성 있는 (대북) 제재에 집중할 시기다.” 정부 고위 당국자의 말이다. 22일 청와대에서 진행된 외교·국방·통일부의 대통령 합동 업무보고에서 재확인된 정부의 정책 기조다.
외교·국방·통일부는 올해 ‘중점 추진 전략’으로 “북한 도발 위협에 전방위 총력 대응”과 “북핵·북한 문제에 대한 총체적 접근” 등을 제시했다. 그러나 그 ‘전방위·총체적 대응·접근’에 북한과 대화·협상의 자리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대화’는 오로지 대북 압박 외교 차원에서만 거론된다.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이 변화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며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우선 “북한을 제외한 5자회담”을 시도하라고 지시했다. 5자회담 방안은 새롭지 않다. 2003년 6자회담이 시작된 이래 위기 때마다 거론돼왔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공개석상에서 ‘5자회담’을 처음 거론한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6자회담을 열더라도 비핵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실효성 문제가 제기될 수밖에 없다”는 언급까지 고려하면 ‘6자회담 무용론’으로 비칠 소지가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의미있는 6자회담 개최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6자회담 틀 내 5자 공조 강화를 통해 최대한 대북 압박을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외교·국방·통일부 2016년 중점 추진 전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