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대북정책 문제점 진단
안보실 관료 출신이 대부분
이전 정부 관성 강하게 작용
새로운 정책·비전 기대 힘들어
초기 인사 차질빚은 영향도
“김정은 시대 북한 완전히 달라
구시대적 접근법에서 벗어나야”
‘대북 제재와 대화 병행’을 주장하며 한-미 동맹과 남북관계를 모두 잡으려 했던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이 북한의 6차 핵실험으로 막다른 골목에 몰렸다. 이런 배경에는 굳건한 한-미 동맹에 기반한 ‘한반도 운전자론’과 북한의 잇따른 핵·미사일 고도화 실험 및 ‘통미봉남’ 전략 사이에서 중심을 잡지 못한 문재인 정부의 실책도 적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외교안보 구상을 제대로 구현할 사람과 전략의 부재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힌다.
최근 여권 외교안보 전문가들 사이에선 청와대 국가안보실에 대한 문제 제기가 끊이지 않고 있다. 한 남북관계 전문가는 “문재인 정부는 박근혜 정부와 다른 방식으로 대응할 것이라 예상했는데, (문재인 정부가) 그걸 깨고 있다”고 말했다. 이 전문가는 “(대북) 전략과 사람의 부재”를 문제의 핵심으로 짚었다. 청와대 내부 사정에 밝은 한 정부 소식통은 “대통령의 의중을 파악해 통일외교안보 정책을 구상하고 조율해야 할 안보실이 현안 대응과 의전·일정만 챙기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가 북한 핵·미사일 해결에 어떤 해법도 내지 못한 채 ‘강 대 강’ 식의 현안 대응만 반복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한 반응이었다. 이런 분위기는 한 회의에서 안보실에 답답함을 느낀 문 대통령이 현 국면을 돌파할 수 있는 ‘전략과 비전’을 주문했으나, 안보실이 다시 ‘의전과 일정’에 대한 보고를 되풀이했다는 ‘일화’로도 전해진다.
|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앞서 차담회에서 송영무 국방장관과 이야기를 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