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7.11.03 05:01
수정 : 2017.11.03 06:19
|
지난 9월2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팰리스호텔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
독설로 북 자극땐 한반도 정세 출렁
한-미 FTA 공개 압박 땐 거센 후폭풍
외교부, 미와 접촉 ‘발언 수위’ 조율
|
지난 9월2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팰리스호텔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 일정 가운데 정부가 가장 촉각을 세우고 있는 것은 8일 오전으로 예정된 국회 연설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대북 메시지를 내놓느냐에 한반도 정세가 출렁일 수 있고, 한국 경제 역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그의 발언에 휘청일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지난달 청와대는 트럼프 대통령의 국회 연설 일정을 공개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중·일을 방문하는 동안 주요 정책 연설을 하는 유일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지만, 막상 그가 우리 국회 연단에 서서 밝힐 메시지의 향방에 마음을 놓지 못하는 기류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국회 연설에서 대북 압박을 최대화하는 데 국제사회가 동참할 것을 촉구할 예정이라고 밝힌 상태다. 또한 한-미 자유무역협정이 방한 기간 핵심적인 논의 분야가 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정부 안팎에서는 2일 기대보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한 정부 관계자는 “이미 북-미 간 ‘설전’은 임계점에 달한 상황”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특유의 독설로 북한을 자극해 한반도 정세를 악화시킬 가능성을 경계했다. 한 외교소식통은 “북한에 대해 트럼프가 계속 강경 메시지를 보내고 우리 정부는 뜯어말리는 모양이 될까 걱정”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 문제를 거론하며 한국 국민을 공개적으로 협박하는 모양새가 되지 않을지”라는 걱정도 나왔다. 청와대와 외교부는 “북한 완전 파괴”, “김정은 로켓맨” 등 발언이 나왔던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 9월 유엔총회 연설이 우리 국회에서 재현되지 않도록 미국 쪽과 접촉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와 국회는 미국 대통령으로는 1993년 7월 빌 클린턴 전 대통령 이후 24년 만에 한국 국회에서 연설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예우에 각별히 신경쓰고 있다. 청와대 경호처와 국회 경호기획관실, 미국 백악관 경호실 등 3자 협력으로 국빈 경호 계획을 짜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연설 직전 정세균 국회의장 및 여야 원내대표와의 사전 환담도 조율하고 있다. 김지은 송호진 기자
mira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