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한·중·일 학자들 “위안부 문제는 ‘끝나지 않은 역사’”
28일 오후에 열린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 네 번째 세션에서는 동아시아의 평화와 화해를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논의됐다. 한국과 일본 정부는 지난해 12월28일 ‘...
2016-10-28 21:23
그레그 “‘북 비핵화 가망없다’는 의견 동의 못해”, 임동원 “한국도 핵무장하자는 주장 도움 안돼”
“미국은 우리가 싫어하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외국 지도자나 집단을 무조건 악마로 만들어서 악마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우리를 끊임없이 곤경에 빠트리는 원인이다. 체제를 제거하고 붕...
2016-10-27 22:08
“유라시아-두만강 유엔생태평화공원 구상 실현해야”
27일 ‘부산-한겨레 국제심포지엄’ 첫날 두번째 세션 주제는 ‘북한 변화를 위한 유엔의 역할’이었다. 발제자로 나선 최민자(사진) 성신여대 교수(정치외교학)는 두만강 유엔생태평화공원(UNEP...
2016-10-27 22:01
“미, 전략적 인내 정책 실패” “임기초 고위급 특사 임명해야”
미 대선 이후 미국의 대북정책은 변화할 것인가? 미 대선을 10여일 앞두고 27일 개막한 ‘부산-한겨레 국제심포지엄’ 첫날 첫 세션의 주제다.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인 ‘전략적 인내’는 실...
2016-10-27 21:59
“아시아 정세 불안한 지금이 북-미 대화 시작할 시기”
27일 개막한 ‘제12회 2016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에서 도널드 그레그 전 주한미국대사는 “북한 핵실험과 타이 국왕 서거 등으로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가 불안한 지금이야말로 북한 정권...
2016-10-27 21:47
북과 접촉한 미 전직 당국자 “북의 9·19 성명 복귀 의지 탐색”
조지프 디트라니 전 미국 국가정보국(DNI) 비확산센터 소장은 최근 북·미 접촉에서 “북한이 2005년 6자회담 9·19 공동성명으로 되돌아갈 의사가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 탐색적 대화를 했다”고 밝혔다. 지난 21~22일 말레이시아 쿠...
2016-10-25 17:34
한·중, “중국어선 사태 해결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한국과 중국 정부가 지난 7일 서해상에서 불법 조업 중이던 중국 어선이 해양경비안전본부 고속단정을 들이받아 침몰시킨 사건과 관련해 각종 협의 채널을 통해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김형진 외교부 차관보는 19일 오후 방...
2016-10-19 22:19
북 한성렬-미국, 말레이시아서 비공식 접촉 예정
한성렬 북한 외무성 부상이 미국 쪽 인사들과 비공식 접촉을 위해 말레이시아로 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교도통신>은 18일 한 부상이 중국 베이징 국제공항으로 입국하는 모...
2016-10-18 21:03
송민순 “새누리당 뭘 잘했다고 그러냐”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자신의 회고록 <빙하는 움직인다>를 새누리당이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공격하는 데 활용하는 것과 관련해 “새누리당이 내 책을 정치적으로 이...
2016-10-18 19:10
남북 외교관이 소말리아를 함께 탈출하던 날
1994년 5월9일 오전 11시. 한국인 25명을 태운 프랑스 공군의 C-130 수송기가 사나 국제공항을 이륙했다. 내전이 벌어진 예멘을 탈출하는 대사관 직원 가족들과 현지의 한국 교민들이 내전 ...
2016-10-14 20:04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