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15 10:19 수정 : 2005.02.15 10:19

민주노동당이 파견.기간제 근로의 기간 및 업종범위를 확대하는 `비정규직보호입법'의 제정을 막기 위해 당력을 집중하고 있다.

민노당은 15일 김혜경 대표의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여당이 비정규직보호입법의 2월 임시국회 처리 방침을 유보하고 노동계와의 협상을 통해 법안을 수정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와 함께 전국 시도당 별로 `비정규직 철폐를 위한 국민대회'를 동시다발로 개최하고, 호남권에선 비정규직보호입법 저지를 주제로 한 문화제를 개최하는 등 총력전에 돌입한 상태다.

민노당은 이어 오는 18일께 비정규직보호입법의 제정 저지와 국가보안법 폐지를촉구하는 `국회 앞 천막 농성'에 돌입하기로 했다.

국가보안법 폐지와 마찬가지로 비정규직보호입법 저지에도 상당한 무게를 싣겠는다는 방침인 셈이다.

올해 목표인 서민경제 회생을 위해서는 비정규직 문제가 선결돼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민노당은 원내에서도 여야 정당에 대한 설득과 협상 작업 등을 통해비정규직보호입법의 임시국회 처리를 일단 유보시킨다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천영세 의원단대표 등 원내 지도부는 16일 국회에서 열린우리당 정세균 원내대표를 만나 비정규직보호입법의 임시국회 처리 방침을 철회하고 공청회 등을 개최할 것을 요청할 예정이다.

천 의원단대표는 이어 17일께 한나라당 김덕룡 원내대표와도 만나 이법안의 처리 유보에 협조해줄 것을 부탁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 핵심 관계자는 "서민 경제가 살아나려면 먼저 비정규직 근로자의 삶의 질이향상돼야 하고 비정규직도 줄여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정부가 마련한 비정규직 관련 악법은 철회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