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15 18:52 수정 : 2005.02.15 18:52

고위실무급 자유토론 합의…한-중 라인도 주력

정부는 15일 한­미 외무장관 회담에서 북핵 문제의 외교적 해결 원칙을 재확인함에 따라 중국과 일본 등 6자 회담 관련국들과의 외교접촉을 강화하기 위한 내부 일정 조정에 들어갔다.

정부 당국자는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이 밝힌 3대 원칙은 북핵 문제를 평화적이고 외교적으로 푼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것으로 본다”며 “북한을 6자 회담장으로 끌어오기 위한 노력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우선 왕자루이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장의 방북에 앞서 16일 반기문 장관과 리자오싱 중국 외교부장의 전화통화를 통해 북한의 6자 회담 복귀 대책을 논의하고, 곧바로 송민순 외교부 차관보를 중국에 보내 구체적인 대책을 협의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한­미 외무장관 회담 내용을 전달하고, 북한을 움직이기 위한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할 계획이다.

정부는 필요할 경우 반 장관이 직접 중국을 방문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자칫 중국을 통한 압박으로 비칠 수 있는데다 중국이 느낄 부담감 등을 감안해 조심스러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반 장관의 방중은 아직 구체적으로 논의되진 않았다”며 “오는 4월 파키스탄에서 열릴 예정인 아시아협력대화를 계기로 한·중·일 외무장관들이 만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달 말로 예상되는 한­미­일 6자 회담 수석대표 협의회와 이후 북핵 해법을 찾는 과정에 대비해 한­미간 의견을 조율하는 데도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외무장관 회담에서 외교부 및 국방부, 국가안전보장회의 국장급 실무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자유토론 형식의 모임을 열기로 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볼 수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자유토론회는 북한 외무성 성명 이후 북핵 문제 해법에 대한 한­미 외교안보라인의 시각차를 좁히는 자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외교장관이 가급적 빨리 이 모임을 열기로 합의한데다 북핵 문제의 시급성이 부각된 만큼 개최 시기는 그리 멀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미국 쪽 관련 부처의 인선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다는 점이 걸린다. 정부 당국자는 “아직 구체적인 시기는 결정되지 않았다”며 “조지 부시 2기 행정부의 인선이 아직 끝나지 않았기 때문에 앞으로 추이를 봐가며 시기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