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채정 열린우리당 의장은 16일 정치권에서 일고 있는 ‘정치자금의 현실화’ 논란에 대해 “우리 당은 기존의 당론에서 한 발도 물러선 적이 없다”며 “당론 변경도 없고 (정치자금법 개정에 대한) 검토 지시가 내려간 적도 없다”고 밝혔다. 임 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확대간부회의에서 “이런 얘기가 국회 자문기구에서 처음 나온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를 우리 당의 당론인 것처럼 얘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임 의장의 발언은 최근 열린우리당이 후원회 행사 금지와 법인·단체의 기부금지 등 정치자금법의 몇몇 조항을 없애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여론의 비판이 쏟아지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정세균 원내대표도 “4·15 총선에서 정치자금법 등이 매우 개혁적인 방향으로 개혁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그런 법제 아래서 역사상 가장 깨끗한 선거가 치러져 우리 당이 지지를 받았다”며 “정치자금법과 관련한 이런 저런 보도가 있으나, 개혁의 후퇴는 있을 수 없으며 개혁 후퇴로 비쳐진 어떤 논의도 이뤄진 적이 없다”고 말했다. 지난 16대 국회에서 정치자금법 개정을 주도한 오세훈 전 의원도 이날 한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해, “바뀐 제도가 정착을 하려면 4∼8년이 걸린다”며 정치자금 완화 움직임에 제동을 걸었다. 오 전 의원은 최근 국회의장 자문기구인 정치개혁협의회 김광웅 위원장이 ‘기업이나 법인의 정치자금 기부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발언한 데 대해, “그 말을 듣고 걱정을 많이 했다. 개인적인 의견이기를 희망한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
“정치자금 완화 지시한적 없다” |
열린우리 임채정 의장 여론비판 차단나서
임채정 열린우리당 의장은 16일 정치권에서 일고 있는 ‘정치자금의 현실화’ 논란에 대해 “우리 당은 기존의 당론에서 한 발도 물러선 적이 없다”며 “당론 변경도 없고 (정치자금법 개정에 대한) 검토 지시가 내려간 적도 없다”고 밝혔다. 임 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확대간부회의에서 “이런 얘기가 국회 자문기구에서 처음 나온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를 우리 당의 당론인 것처럼 얘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임 의장의 발언은 최근 열린우리당이 후원회 행사 금지와 법인·단체의 기부금지 등 정치자금법의 몇몇 조항을 없애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여론의 비판이 쏟아지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정세균 원내대표도 “4·15 총선에서 정치자금법 등이 매우 개혁적인 방향으로 개혁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그런 법제 아래서 역사상 가장 깨끗한 선거가 치러져 우리 당이 지지를 받았다”며 “정치자금법과 관련한 이런 저런 보도가 있으나, 개혁의 후퇴는 있을 수 없으며 개혁 후퇴로 비쳐진 어떤 논의도 이뤄진 적이 없다”고 말했다. 지난 16대 국회에서 정치자금법 개정을 주도한 오세훈 전 의원도 이날 한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해, “바뀐 제도가 정착을 하려면 4∼8년이 걸린다”며 정치자금 완화 움직임에 제동을 걸었다. 오 전 의원은 최근 국회의장 자문기구인 정치개혁협의회 김광웅 위원장이 ‘기업이나 법인의 정치자금 기부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발언한 데 대해, “그 말을 듣고 걱정을 많이 했다. 개인적인 의견이기를 희망한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임채정 열린우리당 의장은 16일 정치권에서 일고 있는 ‘정치자금의 현실화’ 논란에 대해 “우리 당은 기존의 당론에서 한 발도 물러선 적이 없다”며 “당론 변경도 없고 (정치자금법 개정에 대한) 검토 지시가 내려간 적도 없다”고 밝혔다. 임 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확대간부회의에서 “이런 얘기가 국회 자문기구에서 처음 나온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를 우리 당의 당론인 것처럼 얘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임 의장의 발언은 최근 열린우리당이 후원회 행사 금지와 법인·단체의 기부금지 등 정치자금법의 몇몇 조항을 없애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여론의 비판이 쏟아지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정세균 원내대표도 “4·15 총선에서 정치자금법 등이 매우 개혁적인 방향으로 개혁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그런 법제 아래서 역사상 가장 깨끗한 선거가 치러져 우리 당이 지지를 받았다”며 “정치자금법과 관련한 이런 저런 보도가 있으나, 개혁의 후퇴는 있을 수 없으며 개혁 후퇴로 비쳐진 어떤 논의도 이뤄진 적이 없다”고 말했다. 지난 16대 국회에서 정치자금법 개정을 주도한 오세훈 전 의원도 이날 한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해, “바뀐 제도가 정착을 하려면 4∼8년이 걸린다”며 정치자금 완화 움직임에 제동을 걸었다. 오 전 의원은 최근 국회의장 자문기구인 정치개혁협의회 김광웅 위원장이 ‘기업이나 법인의 정치자금 기부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발언한 데 대해, “그 말을 듣고 걱정을 많이 했다. 개인적인 의견이기를 희망한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