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21 17:22 수정 : 2005.02.21 17:22

열린우리당 당권도전을 선언한 문희상(文喜相) 의원은 21일 북핵파문 해결을 위한 남북정상회담 문제와 관련, "지금은 정상회담에 매어가지고 서두를 일은 아니다"고 밝혔다.

문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시사프로 '열린 세상 오늘'에 출연, "노무현 대통령도 정상회담이 가능하다면 시기나 장소를 가리지 않고 언제든지 할 의향이 있지만 지금은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그것은 북도 마찬가지"라면서 "북도 정상회담을 통해 바로 북핵 문제가 해결되면 할 수 있을 것이지만 그 가능성이 낮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문 의원은 "내 생각엔 남북 정상회담이 북핵 해결을 위해 유일한,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하지 않으며, 북핵문제 해결이 급한 문제지 남북정상회담이 급한 것은 아니다"면서 "따라서 남북 정상회담을 해서 북핵 문제가 해결된다면 당연히 마다할 이유가 하나도 없다"고 부연했다.

문 의원은 또 여당인사의 입각문제와 관련, "그 판단은 최종적으로 대통령이 하겠지만 당에선 많으면 많을 수록 좋다고 생각하고 있다"면서 "국정의 역동성을 위해 당이 중심에 서야 한다"고 말했다.

야당인사의 입각문제에 대해 문의원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고 원칙적으로 대통령이 결정할 문제이며, 지난번 교육부총리 임명때 봤듯이 많은 정치적 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그 현실적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전제한뒤 "다만 대통령은 각료 임명도 자질과 품성만 갖추어진 분이면 어느 때 어느 분이라도 장관이 될 수 있다는 실사구시 사고를 가진 분이며, 그래서 지난해 초에 박근혜 의원도 통일부 장관으로 섭외한 적이 있다"면서 "야당에서 정책연합이면 (자당 인사의 각료 임명이) 가능하다고 말을 하는 것을 보면 그 두가지 선에서 꼭 못할 것도 아니다 라고 본다"고 말했다.

문 의원은 또 과거 지도부의 대야전략과 관련, "개혁은 원칙이고 실용은 방법과 전략으로 원칙만 주장하다 아무 것도 얻지 못하는 것은 참으로 공허하고 어리석은 것"이라며 "대야 관계도 대화와 토론의 대상이고 성숙하고 상생의 정치를 하려면 서로 합의를 도출해 내는 것을 해야 하며, 개혁의 원칙만 주장하다가 아무 것도 얻지 못하면 국민들은 실망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