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21 21:54 수정 : 2005.02.21 21:54

한나라당은 21일 오전과 오후 두차례에 걸쳐 행정수도 후속대안 마련을 위한 내부 회의를 갖고 대책을 숙의했으나 뚜렷한 결론을도출하지 못했다.

한나라당은 이날 오후 4시부터 2시간여동안 박근혜 대표 주재로 김덕룡 원내대표와 박세일 정책위의장, 김무성 사무총장, 국회신행정수도 특위 소위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대책회의를 가졌다.

김덕룡 원내대표는 회의직후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위헌 가능성을 배제하는 범위에서 여야 합의를 통해 (후속대책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특별법 처리도 이런 전제 하에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여야간 핵심쟁점이 되고 있는 부처이전 범위와 관련해서는 "부처몇개를 옮기느냐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는 여야 합의를 통한 후속대책 추진과 위헌 가능성 배제라는 한나라당의 기존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미묘한 `입장변화 기류'도 감지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교육.과기.산자.정통.환경.노동.여성부 7개 중앙부처와 산하기관 등 17개 기관을 이전하는 기존안을 기본적으로 제시하되 여기에 일부 부처를 `+α (알파)'식으로 제시하는 방안도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신행정수도 특위 소위 한나라당 간사인 최경환 의원은 회의 직후 부처이전 범위와 관련 "7+α를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고, 특위 한나라당 간사인 김학송 의원은 "3, 4개 부처가 +α가 될 것"이라고 말해, 10개 이상의 부처를 이전대상에 포함시키는 방안도 거론됐음을 시사했다.


두 의원은 "그러나 이 안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향후 여야 협상결과를 바탕으로의총에서 최종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23일까지 열린우리당과 부처이전 범위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협상결과에 따라 당내 의총개최를 통한 최종 추인여부 등을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당 지도부로서는 여야 의견접근이 이뤄지더라도 당내 내부정리를 어떻게할 지도 고민거리다.

박세일 정책위의장을 비롯해 김문수 의원 등 당내 강경파들이 여당이추진하는 16개 부처 이전안을 `준 천도'라고 규정하고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특별법의 이번 임시국회내 처리를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앞서 이날 오전 7시30부터 1시간반동안 김덕룡 원내대표 주재로 국회 신행정수도 특위 소위 위원 등이 참석한 대책회의를 가졌으나 충남 공주.연기지역에 다기능 복합도시를 건설하고 7개 부처 등 17개 기관을 이전한다는 기존안을 재확인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