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가 22일 김광웅 위원장을 포함해 정개협 위원 14명 모두에게 물어본 결과, ‘기업·단체의 정치자금 기부 허용’에 대해 응답자 11명 가운데 9명이 반대했다. 또 ‘집회에 의한 후원금 모금 허용’에 대해서는 응답자 11명 가운데 7명이 반대 뜻을 밝혔다. 두 가지 사안 모두에 찬성 뜻을 밝혀온 김 위원장과는 다른 기류다. 정치자금법 완화에 반대 의견을 밝힌 한 위원은 “10만원 이하 세액공제를 통한 소액다수 후원금 제도가 정착되는 과정과 국민 여론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돈 가뭄’을 호소하며 정치자금법 개정 여론에 군불을 때던 의원들도 분위기가 달라졌다. 박형준 의원 등 국회 정치개혁특위 소속 한나라당 의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1년도 채 지나지 않은 정치자금법을 정치현실과 맞지 않는다고 개정하는 것은 국민들을 또 한번 절망하게 하는 것”이라며 “기업 후원금이나, 후원회 행사를 통한 모집 허용 등 정치자금법의 근간을 흔들어선 안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아울러 △재임 중 부정·부패 사실이 확인되거나 직위를 남용해 축재한 사실이 밝혀지면 즉각 의원직을 사퇴한다는 내용의 ‘대국민 클린협약’을 맺고 △백지신탁제를 즉각 도입하며 △불법 정치자금을 주고받은 사실이 드러나면 양쪽 모두에 50배의 과태료를 물리도록 하는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개특위 위원인 노회찬 민주노동당 의원도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어 “의원들이 고비용 정치의 습관을 버리지 않는 한 지금의 제도가 불편한 것은 당연하다”며 “‘금단현상’을 빨리 극복하고 현 제도에 적응하려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은 “당 차원에서 정치자금법 개정을 논의한 바 없다”며 “정개협의 의견 수렴 과정을 지켜보겠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정광섭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