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2.24 10:42
수정 : 2005.02.24 10:42
여야는 24일 다카노 도시유키(高野紀元)주한 일본대사가 독도는 일본 영토라고 주장한데 대해 "외교적인 결례"라며 일제히 불쾌감을 표시했다.
열린우리당은 주한 일본대사의 `망언'과 일본정부의 우경화 경향을 한 목소리로성토하면서도 감정적인 대응은 자제해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국회 통일외교통상위 소속인 열린우리당 임종석 대변인은 "한일 양국이미래지향적 협력관계를 추구하는 가운데 핵심적 역할을 해야 할 한국주재 대사가 그런 망언을 한 것은 외교관으로서 자격이 없음을 증명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임 대변인은 "아시아 전 지역이 새로운 번영과 공존을 모색하는 마당에 일본 관료와 정치인들이 스스로 우경화되는 것은 세계화 시대에 스스로 발목을 잡는 것"이라고 충고했다.
우리당 통외통위 간사인 유선호 의원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외교적결례"라고 성토하면서도 "일본의 의도는 모르겠으나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는 일로생각한다"고 말했다.
유 의원은 "우리 국민은 물론 전 세계가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일개 대사의 말 한 마디로 양국간 갈등을 야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주한 일본대사의 `독도 망언'이 정부의 소극적 외교 정책에서 비롯됐다고 대정부 공세를 펼치면서 이 문제를 적극 대처하라고 촉구했다.
김영선 최고위원은 이날 상임운영위원회의에서 "자국 이익을 위해 일본대사가 독도 문제를 꺼내는 것은 19세기적 침탈 사고를 벗어나지 못한 것"이라며 "정부와 대통령은 영토 위기까지 이른 현실을 반성하고 제2의 독립주권국가 운동이라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일 특파원 출신인 전여옥 대변인도 논평에서 "우리 정부는 일본에 대해 `눈치외교', `우물쭈물 외교'를 당장 거두고 강력히 항의해야 한다"면서 "`독도는 한국땅'이라는 당연한 사실을 지지할 `우군'을 국제사회에서 확보해야 한다"고촉구했다.
유정복 제1정조위원장도 정부의 안이하고 소극적 대처가 망언을 불러왔다고 밝힌뒤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화폐 도안 변경시 독도를 넣는 방법 등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민주노동당 김배곤 부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정부의 조용한 외교가 일본의 분별없는 행동을 부채질한다"면서 "주한 일본대사에 대해 강력한 외교적 조치를 취하는 등 일본의 계속된 망언에 상응하는 조치로 답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일의원연맹 소속인 민주당 이낙연 의원은 "일본 사람들의 생각과 일본 내 기류를 반영한 말이겠지만 대사로서 신중치 못했다"며 "이 발언을 취소하고해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