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정부 집권 2년은 경제적 측면에서 `잃어버린 2년'이라고 부를 수 있을 만큼 성장잠재력이 퇴보한 시기라는 지적이 경제학계에서 나왔다.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우리경제가 선진경제로 가는 과정에서 거칠 수밖에 없는순환론적인 현상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한국경제학회(회장 이재웅 성균관대교수) 등 국내 37개 경제관련학회 관계자 500여명은 24일 서울 중앙대 대강당에서 `2005 경제학 공동학술대회'를 열어 참여정부2년에 대한 평가작업을 가졌다. `한국경제의 재도약을 위한 선택'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대회에서 한양대 나성린(경제학)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참여정부 2년은 단기적으로 경기침체를 초래해 선진경제로의 진입시기를 상당기간 지연시켰다"고 말했다. 그는 또 "참여정부는 출범초기 불안한 대내외적인 여건에도 불구하고 경제활성화보다는 정치.사회적 틀바꾸기를 우선시했고 집권 2년차에는 4대 개혁입법의 무리한 추진 등 불필요한 정치.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면서 경기침체를 심화시켰다"고 꼬집었다. 나 교수는 참여정부의 집권 2년을 `잃어버린 2년'으로 규정하면서 그러나 참여정부가 새해들어 경제를 중요시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은 다행스런 일이라고 밝혔다. 조윤제 주영국대사(전 청와대 경제보좌관)는 그러나 "한국경제는 국내 경기침체의 장기화와 미래경제에 대한 불안한 전망이 있지만 이는 선진경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는 순환론적인 현상"이라고 밝혔다. 국내 경제학계 최대 규모의 학술대회인 이번 대회는 이날 `한국경제의 재도약을위한 선택'에 이어 25일에는 `달러화 변동의 경제적 충격.분석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벌린다. (서울=연합뉴스)
|
“참여정부 2년 ‘한국경제의 잃어버린 2년’” |
국내 37개 경제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
노무현 정부 집권 2년은 경제적 측면에서 `잃어버린 2년'이라고 부를 수 있을 만큼 성장잠재력이 퇴보한 시기라는 지적이 경제학계에서 나왔다.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우리경제가 선진경제로 가는 과정에서 거칠 수밖에 없는순환론적인 현상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한국경제학회(회장 이재웅 성균관대교수) 등 국내 37개 경제관련학회 관계자 500여명은 24일 서울 중앙대 대강당에서 `2005 경제학 공동학술대회'를 열어 참여정부2년에 대한 평가작업을 가졌다. `한국경제의 재도약을 위한 선택'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대회에서 한양대 나성린(경제학)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참여정부 2년은 단기적으로 경기침체를 초래해 선진경제로의 진입시기를 상당기간 지연시켰다"고 말했다. 그는 또 "참여정부는 출범초기 불안한 대내외적인 여건에도 불구하고 경제활성화보다는 정치.사회적 틀바꾸기를 우선시했고 집권 2년차에는 4대 개혁입법의 무리한 추진 등 불필요한 정치.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면서 경기침체를 심화시켰다"고 꼬집었다. 나 교수는 참여정부의 집권 2년을 `잃어버린 2년'으로 규정하면서 그러나 참여정부가 새해들어 경제를 중요시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은 다행스런 일이라고 밝혔다. 조윤제 주영국대사(전 청와대 경제보좌관)는 그러나 "한국경제는 국내 경기침체의 장기화와 미래경제에 대한 불안한 전망이 있지만 이는 선진경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는 순환론적인 현상"이라고 밝혔다. 국내 경제학계 최대 규모의 학술대회인 이번 대회는 이날 `한국경제의 재도약을위한 선택'에 이어 25일에는 `달러화 변동의 경제적 충격.분석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벌린다. (서울=연합뉴스)
노무현 정부 집권 2년은 경제적 측면에서 `잃어버린 2년'이라고 부를 수 있을 만큼 성장잠재력이 퇴보한 시기라는 지적이 경제학계에서 나왔다.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우리경제가 선진경제로 가는 과정에서 거칠 수밖에 없는순환론적인 현상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한국경제학회(회장 이재웅 성균관대교수) 등 국내 37개 경제관련학회 관계자 500여명은 24일 서울 중앙대 대강당에서 `2005 경제학 공동학술대회'를 열어 참여정부2년에 대한 평가작업을 가졌다. `한국경제의 재도약을 위한 선택'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대회에서 한양대 나성린(경제학)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참여정부 2년은 단기적으로 경기침체를 초래해 선진경제로의 진입시기를 상당기간 지연시켰다"고 말했다. 그는 또 "참여정부는 출범초기 불안한 대내외적인 여건에도 불구하고 경제활성화보다는 정치.사회적 틀바꾸기를 우선시했고 집권 2년차에는 4대 개혁입법의 무리한 추진 등 불필요한 정치.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면서 경기침체를 심화시켰다"고 꼬집었다. 나 교수는 참여정부의 집권 2년을 `잃어버린 2년'으로 규정하면서 그러나 참여정부가 새해들어 경제를 중요시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은 다행스런 일이라고 밝혔다. 조윤제 주영국대사(전 청와대 경제보좌관)는 그러나 "한국경제는 국내 경기침체의 장기화와 미래경제에 대한 불안한 전망이 있지만 이는 선진경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는 순환론적인 현상"이라고 밝혔다. 국내 경제학계 최대 규모의 학술대회인 이번 대회는 이날 `한국경제의 재도약을위한 선택'에 이어 25일에는 `달러화 변동의 경제적 충격.분석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벌린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