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의원은 이날 국회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기존에 95만평 정도로 알려졌던 주요 친일파 11명의 토지 규모를 다시 조사해본 결과 이들의 토지는 440만평에이르고, 토지가격도 수십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의 조사에 따르면 한일합병조약을 체결하는데 앞장섰던 이완용의 경우경기도 김포군의 토지 80만평을 비롯해 여주군과 용인군 등에 모두 106만평을 보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진회 총재였던 송병준은 경기도 고양군의 70만평을 비롯해 총 161만9천평을소유했고, 이 가운데 56만8천평은 아들 명의로 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정미조약에 앞장선 이재곤 명의의 토지가 12만평, 을사조약 체결을 주장한 이근택의 토지가 16만평 등으로 나타났다. 최 의원은 민족문제연구소와 공동으로 한달여간 국가기록원과 지방자치단체에서일제시대 토지조사부와 임야조사부, 구토지대장 등을 조사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고 설명했다. 최 의원은 “각 지자체가 벌이고 있는 조상땅 찾기운동은 친일파 후손들에게 땅을 되찾아주는 운동으로 전락할 수 있다”며 “정부가 나서서 친일파들이 일제시대에보유했던 토지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최 의원은 이날 친일행위를 대가로 얻은 재산을 국가가 환수토록 하는 내용의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환수 특별법안’을 여야 의원 169인의 공동발의로국회에 제출했다. 이 법안은 일제 식민통치에 협력해 일본 정부로부터 훈장과 작위를 받았거나 을사보호조약 등의 체결을 주장한 고위 공직자를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하고, 이들이 당시 취득했거나 이들로부터 상속받은 재산을 국가가 환수해 독립운동 관련 기념사업과 교육사업에 우선적으로 사용토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
최용규 의원 “친일파 11명 토지 440만평” |
열린우리당 최용규(崔龍圭) 의원은 24일 이완용과 송병준 등 구한말 친일 고위공직자 11명이 소유했던 토지가 440만평에 이른다고밝혔다.
최 의원은 이날 국회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기존에 95만평 정도로 알려졌던 주요 친일파 11명의 토지 규모를 다시 조사해본 결과 이들의 토지는 440만평에이르고, 토지가격도 수십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의 조사에 따르면 한일합병조약을 체결하는데 앞장섰던 이완용의 경우경기도 김포군의 토지 80만평을 비롯해 여주군과 용인군 등에 모두 106만평을 보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진회 총재였던 송병준은 경기도 고양군의 70만평을 비롯해 총 161만9천평을소유했고, 이 가운데 56만8천평은 아들 명의로 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정미조약에 앞장선 이재곤 명의의 토지가 12만평, 을사조약 체결을 주장한 이근택의 토지가 16만평 등으로 나타났다. 최 의원은 민족문제연구소와 공동으로 한달여간 국가기록원과 지방자치단체에서일제시대 토지조사부와 임야조사부, 구토지대장 등을 조사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고 설명했다. 최 의원은 “각 지자체가 벌이고 있는 조상땅 찾기운동은 친일파 후손들에게 땅을 되찾아주는 운동으로 전락할 수 있다”며 “정부가 나서서 친일파들이 일제시대에보유했던 토지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최 의원은 이날 친일행위를 대가로 얻은 재산을 국가가 환수토록 하는 내용의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환수 특별법안’을 여야 의원 169인의 공동발의로국회에 제출했다. 이 법안은 일제 식민통치에 협력해 일본 정부로부터 훈장과 작위를 받았거나 을사보호조약 등의 체결을 주장한 고위 공직자를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하고, 이들이 당시 취득했거나 이들로부터 상속받은 재산을 국가가 환수해 독립운동 관련 기념사업과 교육사업에 우선적으로 사용토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최 의원은 이날 국회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기존에 95만평 정도로 알려졌던 주요 친일파 11명의 토지 규모를 다시 조사해본 결과 이들의 토지는 440만평에이르고, 토지가격도 수십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의 조사에 따르면 한일합병조약을 체결하는데 앞장섰던 이완용의 경우경기도 김포군의 토지 80만평을 비롯해 여주군과 용인군 등에 모두 106만평을 보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진회 총재였던 송병준은 경기도 고양군의 70만평을 비롯해 총 161만9천평을소유했고, 이 가운데 56만8천평은 아들 명의로 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정미조약에 앞장선 이재곤 명의의 토지가 12만평, 을사조약 체결을 주장한 이근택의 토지가 16만평 등으로 나타났다. 최 의원은 민족문제연구소와 공동으로 한달여간 국가기록원과 지방자치단체에서일제시대 토지조사부와 임야조사부, 구토지대장 등을 조사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고 설명했다. 최 의원은 “각 지자체가 벌이고 있는 조상땅 찾기운동은 친일파 후손들에게 땅을 되찾아주는 운동으로 전락할 수 있다”며 “정부가 나서서 친일파들이 일제시대에보유했던 토지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최 의원은 이날 친일행위를 대가로 얻은 재산을 국가가 환수토록 하는 내용의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환수 특별법안’을 여야 의원 169인의 공동발의로국회에 제출했다. 이 법안은 일제 식민통치에 협력해 일본 정부로부터 훈장과 작위를 받았거나 을사보호조약 등의 체결을 주장한 고위 공직자를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하고, 이들이 당시 취득했거나 이들로부터 상속받은 재산을 국가가 환수해 독립운동 관련 기념사업과 교육사업에 우선적으로 사용토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