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 참모진 재산변동 안팎 |
청와대 1급상당 비서관 이상 공직자들의 재산증감 신고결과 고령화.미래사회위원회 소속 남상덕 국정과제 담당 비서관의재산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남 비서관이 신고한 지난 한해 재산 증가분은 9천640만3천원으로, 본인과 부인의 봉급 저축이 재산 증가분의 대부분(약 7천500만원)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기영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은 봉급저축 및 사인간 채권 등으로 7천601만4천원의 재산이 늘어 청와대 내에서 두번째로 재산 증가폭이 컸고, 이원덕사회정책수석은 퇴직금 및 예금 해약금 등으로 7천151만5천원의 재산이 증가했다고신고했다.
이어 △권태신 경제정책비서관 6천12만5천원 △김영주 경제정책수석 4천959만5천원 △김우식 비서실장 4천701만3천원 등의 순으로 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 실장의 경우 지난해 2월 임명 당시 482만3천원의 예금 및 주식을 누락, 이번에 포함시켰으며, 지난해 8월 강원 동해시의 임야(1천200여만원 상당)를 종교법인에기증했다고 신고했다.
또한 86만6천원의 재산이 증가한 김병준 정책실장은 기존에 소유하고있던 승용차를 3천500cc급으로 바꿨다고 신고했으며, 2천316만2천원의 재산이 감소한 권진호 국가안보보좌관도 지난해 3천cc급 승용차 등을 구입했다.
반면 문재인 민정수석은 6천896만9천원의 재산이 줄었다고 신고해 가장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과로 탓에 치아 손상이 심했던 문 수석은 "의료비, 생활비등으로 지출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또 장준영 사회조정1비서관은 임대보증금 충당을 위한 대출금 증가 등으로 4천576만2천원이, 전해철 민정비서관은 생활비 지출 등으로 4천244만6천원의 재산이 각각 줄어들었다.
김완기 인사수석의 경우에는 최근 인사수석으로 임명되는 바람에 소청심사위원장 자격으로 재산변동 내역을 신고했고, 생활비 지출 등을 이유로 2천717만원의 재산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와대 고위 공직자들의 재산증감 신고결과는 25일자 관보에 게재될 예정이며,수석.보좌관급 이상 12명, 1급상당 비서관 19명 등이 이번 신고대상에 포함됐다.
올해 임명된 이강철 시민사회, 조기숙 홍보수석, 정문수 경제보좌관 등은 공개시한을 남겨두고 있어 이번 신고대상에서는 제외됐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