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국제위원장으로 북핵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해 온 박 진의원은 "핵보유 선언을 흔히 쓰는 전략으로 치부하는 등 북핵 불감증과 낙관론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면서 "최소한 북한의 핵포기 결단 촉구, 6자회담 복귀에 대한 강력한 촉구가 있어야 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연합뉴스)
|
한나라당 “알맹이 없다” 비판 |
한나라당은 25일 노무현 대통령의 취임 2주년 국회 국정연설과 관련, "국민들의 최대 관심사인 경제와 북핵 등 현안에 대한 비전과 해법 제시를 기대했지만 알맹이가 없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최근 국제적 이슈로 떠오른 북핵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못한 점은 문제라는 지적이 많았다.
박근혜 대표는 노 대통령의 국정연설을 청취한 뒤 "경제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에 대해서는 환영하지만, 전체적으로 새로운 것이 없다"면서 "특히 북핵문제에 대해 국민들에게 알려주는 정보도 없고, 해법도 제시하지 못했다"고 언급했다고 핵심 당직자가 전했다.
김덕룡 원내대표는 "대통령이 국회에 와서 국정연설을 한 것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환영하다"면서 "그러나 경제와 북핵문제에 대한 대책이 매우 안이하고 시각에 있어서도 문제점을 드러냈다"고 비판했다.
김 원내대표는 노 대통령이 선거구제 개편에 대해 언급한 것과 관련, "지역대결구도는 선거제도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다. 진단이 잘못 돼 처방도 잘못 내려진 것"이라고 언급하고 "북핵 문제에 대해서도 아무런 해법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여서 우려된다"고 쓴소리를 했다.
김무성 사무총장은 "국민은 북핵과 경제 문제에 대해 노 대통령이 책임있는 해법을 제시하기를 기대했지만 내용이 없다"면서 "(이 정도의 내용으로) 이례적으로 국회에 와서 발언해야 하는 지 이해하기 어렵다"며 `평가절하'했다.
전여옥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북핵문제에 대한 대책과 경제침체에 대한 해법을 기대했지만 놀랍게도 아무런 내용이 없다"면서 "특히 북핵문제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하는 안일함을 보였고, 경제문제 역시 한나라당의 `선진경제' 이름을 빌릴 용의는 있다고 했지만, 실천방안은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실망감을 나타냈다.
전 대변인은 이어 "지난 2년을 잘못했다고 인정하고 반성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지만 이런 자세는 적어도 1년 전에 나왔어야 했다"면서 "보통 국민의 생각보다는 1년씩 늦게 가고 , 세계 흐름과는 몇 년의 격차가 있다"고 꼬집었다.
당 국제위원장으로 북핵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해 온 박 진의원은 "핵보유 선언을 흔히 쓰는 전략으로 치부하는 등 북핵 불감증과 낙관론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면서 "최소한 북한의 핵포기 결단 촉구, 6자회담 복귀에 대한 강력한 촉구가 있어야 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연합뉴스)
당 국제위원장으로 북핵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해 온 박 진의원은 "핵보유 선언을 흔히 쓰는 전략으로 치부하는 등 북핵 불감증과 낙관론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면서 "최소한 북한의 핵포기 결단 촉구, 6자회담 복귀에 대한 강력한 촉구가 있어야 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