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27 18:39 수정 : 2005.02.27 18:39

한국, 미국, 일본 세 나라의 6자 회담 대표들은 26일 서울 세종로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3자 협의회를 열어 북한이 더 지체하지 말고 6자 회담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또 6자 회담장에서 그동안 북한이 우려하고 관심을 보였던 모든 사항에 대해 진지하게 토의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정부는 조만간 책임 있는 외교당국자 간 접촉을 통해 중국 쪽에 이번 3자 협의회의 내용을 설명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전 10시부터 4시간 가량 진행된 고위급 협의를 마친 뒤 송민순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주재국 대표로서 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우려하는 사안에 대해 직접 논의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히고,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평가하며, 회담의 조기 재개를 위해 중국이 노력을 강화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6자 회담이 북핵 문제의 해결 촉진을 위해 모든 관심사안을 논의하고 진지하게 논의할 수 있는 폭넓은 토론장임을 (3자가) 재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는 송 차관보와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내정자, 사사에 겐이치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 등 세 나라 북핵 관련 수석대표 및 대표들이 참석했다.

송 차관보는 제재나 압박보다는 “6자 회담의 조기 재개 방법에 관해 논의를 집중시켰다”고 말하고, “(회담 재개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포함해 논의했으나 그 방법에 대해서는 밝힐 수 없다”며 그 이상의 언급을 피했다.

한편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27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왕자루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에게 △동등한 지위의 협상과 △6자 회담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성과물을 좀더 분명히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또다른 소식통은 김 위원장이 왕 부장에게 “조선과 미국의 핵 대결은 조선만의 문제가 아니라 중국과 조선이 함께 손잡고 미국에 대항해야 할 문제”라고 발언했으며, 대북 제재 여론이 강해지고 있는 일본을 겨냥해 “중국이 나서서 (제재를) 막아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6자 회담 참가국들에 중국의 노력을 설명하고 ‘호의적인 회담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뜻을 전달했으나, “왕 부장이 가져온 김 위원장의 메시지가 회담 재개의 전제조건으로 받아들이기에는 추상적이고 모호해 각국 사이에 의견차이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또 중국이 후진타오 국가주석의 친서 대신에 ‘구두 서한’이라는 형식을 동원한 것은 김 위원장의 ‘즉답’을 끌어내기 위한 것이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친서의 경우 김 위원장이 이를 접수한 뒤 즉답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했다는 것이다. 강태호 기자,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연합 kankan1@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