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대통령 연설 미래 한일관계 비전 제시 |
노무현 대통령의 1일 `일본 과거사 배상' 언급과 관련, 외교통상부는 대통령의 발언 강도에 주목하는 한편 과거사 해소를강조해 온 노 대통령의 평소 소신의 연장선상에 따른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특히 한일관계 진전을 위한 최대 걸림돌인 과거사 문제를 해결책과 함께 제시하는 미래 한일관계의 비전을 제시했다는 게 대체적인 분위기다.
외교부 당국자는 "어제 들은 내용과는 약간 다른 것 같다"며 "일본에 대놓고 이렇게 말한 대통령은 사실 없었다"며 노 대통령의 발언 강도가 당초보다 높아졌음을시인했다.
이 당국자는 "일단 일본에 대해 엄중한 말씀을 하신 것 같은데 구체적인 의중에대해 청와대로부터 설명을 듣고 협의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진심으로 사과하고 배상할 일이 있으면 배상해야 한다' `일본지성에 호소한다'는 내용과 독일과 프랑스의 사례를 든 점 등에서 보이듯이 오늘 발언은 대통령이 여태까지 해온 얘기의 연장선에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사과와 배상' 언급 부*분은 과거사에 대한 진실규명에 대한 결과를 보고 그에 따라 일본이 해야할 일이라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과거사 진상규명작업이 진행 중인 만큼 결과를 지켜봐야 하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다른 당국자는 "한일협정을 바꾸자는 법적인 문제를 거론하기 이전에 인류사의보편적인 윤리 문제를 거론함으로써 일본의 양심에 호소했고, 미래 한일관계의 큰틀을 그린 철학이 담겨 있는 것으로 보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외교부에서 올린 초안을 대통령께서 밤늦게까지 숙려한 흔적이 연설문 곳곳에 묻어난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당국자는 "일본의 최근 독도 발언 등이 과거사와 도덕성에 대한 분명한입장을 갖고 있는 노 대통령의 연설문 수위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겠느냐"며 일본 당국의 잇따른 `망언'에 대한 경고성 메시지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대통령의 발언 강도수위가 다소 높아져서인지 이날 외교부 아시아태평양국 간부들도 잇따라 출근해 대통령 발언의 의미를 분석하는 등 협의를 하느라 분주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