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열어”“못열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열린우리당 간사인 최재천 의원(오른쪽 끝) 등이 2일 오전 한나라당 일부 의원들이 점거하고 있는 법사위 회의실 문을 열쇠로 열고 있다. 황석주 기자 stonepole@hani.co.kr
|
박세일 정책위의장 사퇴…일부의원 법사위 점거 국회는 2일 법제사법위원회와 본회의를 열어 충남 연기·공주에 행정중심 복합도시를 세우는 내용의 ‘행정도시 건설 특별법안’을 처리하려 했으나, 일부 한나라당 의원들이 법사위 회의장을 점거하는 등 저지에 나서 밤 늦게까지 난항을 겪었다. 본회의 사회를 본 김덕규 국회 부의장은 법사위 회의가 열리지 않자, 국회법 제 85조에 따른 직권상정 조처로 특별법안을 본회의에 넘겼다. 여야의 특별법 처리 합의에 반발해 8일째 농성을 벌여온 한나라당의 이재오·김문수·박계동·배일도 의원 등 4명은 이날 새벽 특별법 처리 연기 등을 요구하며, 법사위 회의장을 점거하고 농성에 들어갔다. 이에 열린우리당은 한나라당 소속인 최연희 법사위원장에게 회의장소 변경을 요청했으나, 최 위원장은 “회의장 변경은 나쁜 선례를 남기는 일”이라며 거부해 이날 밤 늦게까지 법사위가 열리지 못했다. 한나라당은 이날 오전과 오후에 걸쳐 의원총회와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 등을 거듭 열어 격론을 벌였으나 특별법 처리 여부에 대한 일치된 의견을 모으지 못했다. 당 지도부는 의총에서 여야 합의대로 이날 특별법을 처리할 것을 주장했으나, 반대 의원들을 설득하지 못했다. 여야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외국 출장 중인 김원기 국회의장을 대리한 김덕규 부의장은 저녁 8시50분께 법사위에 “밤 9시30분까지 행정도시특별법, 국가안전보장회의법 개정안 등 4개 법안의 심사를 완료해 달라”는 공문을 보내 직권상정 절차를 밟았다. 열린우리당은 이날 밤 소속 의원들을 대기시키는 한편, 민주노동당과 민주당, 자민련에 법안 처리 협조를 요청했다. 한편, 박세일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당 지도부의 특별법 처리강행 방침에 반발해 정책위의장직을 사퇴했다. 박 의장은 이날 오전 열린 의원총회에서 “정부와 여당의 위헌적 수도 분할은 국가 발전에 엄청난 후퇴를 가져올 것인 만큼, 한나라당은 이런 잘못된 정부 정책에 합의했던 결정을 철회해야 한다”며 당직과 의원직 사퇴 뜻을 밝혔다. 이에 따라, 행정도시 특별법 처리를 둘러싼 한나라당의 내홍은 한층 심각한 국면으로 치닫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재권 김의겸 기자 jjk@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