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리에서 반대파 의원들은 당장 3일 오전 비상의총 소집을 요구키로 하고, `수도이전반대 비상대책위'를 만들어 헌법소원과 시민.사회단체연대투쟁을 벌이기로했다. 전재희 의원은 "단식투쟁에 돌입하겠다"고 선언했고, 안상수의원은 "이번 사태를 초래한 박 대표와 김 원내대표에게 사퇴를 촉구하자"고 주장했다. 당 지도부도 곧바로 국회 대표실에서 박 대표, 김 원내대표, 김무성 사무총장과 박희태 국회부의장, 강재섭 의원, 원내대표단이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책회의'를 가졌으나 별다른 대책을 강구하지 못한 채 회의를 마친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표는 퇴청하면서 기자들의 질문공세에 대해 침통한 표정을 지으면서 입을꽉 다문 채 침묵으로 일관했다. 이날 회의에서 일부 참석자들은 "정당한 절차를 통해 결정된 당론을 무시하고재의결을 요구한 반대파 의원들이 근본적으로 당을 혼란스럽게 한 것"이라고 책임을돌렸다. 한나라당은 지난 2002년 대선에서 신행정수도 건설문제가 처음 불거졌을 때부터지금까지 한번도 분명한 방향을 잡지 못한 채 여론눈치보기에 급급해 하는 모습을보여옴으로써 오늘의 불행을 자초했다는 지적이다. 여기에다가 박 대표, 이명박 서울시장, 손학규 경기지사 등 당내 대권주자들의 정치적 이해득실이 개입되면서 상황은 꼬여갔고, 대권주자들의 친소와 지역적 이해까지 겹쳐 소속 의원들의 분란은 확대재생산된 측면이 없지 않다. 정치적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사람은 누가 뭐래도 박 대표다. 박 대표는 행정도시법에 대한 여야 합의를 이끌어 내고 의총에서 이를 추인받았으면서도 반대파 의원들을 설득하는 데 실패함으로써 내부적으로 리더십을 상실했고,대외적으로는 정치지도자로서 신뢰감을 상실할 위기에 처하게 됐다. 또 수도이전 반대세력에겐 여당이 주도한 행정도시법안 처리에 방조함으로써 상당 정도 지지기반의 상실을 감수해야 할 처지다. 더욱이 여권으로부터 과거사 공세를 받고 있는 상황인 데다가 반대파 의원들의사퇴요구가 불거질 경우 내년 7월 임기전에 중도낙마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한나라당은 조기 전당대회 개최가 불가피해질 전망이며 조기 당권다툼으로 이어지거나 분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성급한 전망마저 나오고 있다. 반대파 의원들도 얻은 게 없기는 마찬가지다. 이들도 의총에서 표결로 결정된당론을 뒤늦게 뒤엎으려 시도하고, 법사위 회의장 점거는 물론 본회의장 실력저지를시도함으로써 대외적인 신뢰를 잃게 됐다. 한나라당은 당장 잇단 당직 및 의원직 사퇴 파문부터 수습해야 할 상황이다. 정책위의장직 및 의원직 사퇴를 선언한 박세일 의원은 향후 자신의 거취 문제에 대해 "의총에서 발언한 그대로"라고 말해 이를 철회할 의사가 없음을 밝혔다. 또 박 정책위의장과 호흡을 맞췄던 정조위원장 등 일부 당직자들도 당직 및 의원직사퇴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어 한나라당의 혼란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한나라 거센 후폭풍 휩싸일 듯 |
(서울=연합뉴스) 헌정사상 14번째로 직권상정된 행정도시특별법안이 2일 국회 본회의에서 한나라당 일부 의원들의 실력저지 시도에도 불구하고 가결됨에 따라 한나라당은 엄청난 후폭풍에 휩싸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나라당은 행정도시법안 처리를 놓고 당 소속 의원들이 찬반으로 쪼개진 가운데 당론조차 제대로 정하지 못한 채 어정쩡한 상태에서 여당의 일방적인 처리에 일사불란하게 대응하지 못했다.
더군다나 이 과정에서 박근혜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는 리더십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채 상황에 끌려다녔고, 일부 의원들은 의총에서 추인된 `여야합의처리'에 반발해 재의결을 요구하는 등 민주주의의 기본원칙마저 부인하는 모습을 보였다.
급기야 당 지도부는 지도부대로, 의원들은 의원들대로 당 전체가 회복할 수 없는 위기상황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이로써 한나라당은 행정수도 이전문제로 인해 지난 2002년 대선에서 패배한 데이어 분당 위기에까지 내몰리는 상황에 처하게 됐다.
결국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 건설 추진에 대한 `위헌 결정'이 한나라당엔 `보약'이 아니라 오히려 `독'이 된 셈이다. 당장 반대파 의원들은 이번 사태의 책임을 물어 박 대표와 김덕룡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고, 지도부는 지도부대로 재의결을요구하며 당초 당론을 묵살한 반대파 의원들에게 책임을 돌리고 있다.
이번 사태에 대해 서로 `네탓 공방'을 벌이며 극단적인 반목과 대립의 길로 접어드는 양상까지 보이고 있다.
본회의장에서 실력저지에 나섰던 20여명 의원을 비롯해 반대파 의원 50여명은산회후 본회의장에서 대책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반대파 의원들은 당장 3일 오전 비상의총 소집을 요구키로 하고, `수도이전반대 비상대책위'를 만들어 헌법소원과 시민.사회단체연대투쟁을 벌이기로했다. 전재희 의원은 "단식투쟁에 돌입하겠다"고 선언했고, 안상수의원은 "이번 사태를 초래한 박 대표와 김 원내대표에게 사퇴를 촉구하자"고 주장했다. 당 지도부도 곧바로 국회 대표실에서 박 대표, 김 원내대표, 김무성 사무총장과 박희태 국회부의장, 강재섭 의원, 원내대표단이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책회의'를 가졌으나 별다른 대책을 강구하지 못한 채 회의를 마친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표는 퇴청하면서 기자들의 질문공세에 대해 침통한 표정을 지으면서 입을꽉 다문 채 침묵으로 일관했다. 이날 회의에서 일부 참석자들은 "정당한 절차를 통해 결정된 당론을 무시하고재의결을 요구한 반대파 의원들이 근본적으로 당을 혼란스럽게 한 것"이라고 책임을돌렸다. 한나라당은 지난 2002년 대선에서 신행정수도 건설문제가 처음 불거졌을 때부터지금까지 한번도 분명한 방향을 잡지 못한 채 여론눈치보기에 급급해 하는 모습을보여옴으로써 오늘의 불행을 자초했다는 지적이다. 여기에다가 박 대표, 이명박 서울시장, 손학규 경기지사 등 당내 대권주자들의 정치적 이해득실이 개입되면서 상황은 꼬여갔고, 대권주자들의 친소와 지역적 이해까지 겹쳐 소속 의원들의 분란은 확대재생산된 측면이 없지 않다. 정치적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사람은 누가 뭐래도 박 대표다. 박 대표는 행정도시법에 대한 여야 합의를 이끌어 내고 의총에서 이를 추인받았으면서도 반대파 의원들을 설득하는 데 실패함으로써 내부적으로 리더십을 상실했고,대외적으로는 정치지도자로서 신뢰감을 상실할 위기에 처하게 됐다. 또 수도이전 반대세력에겐 여당이 주도한 행정도시법안 처리에 방조함으로써 상당 정도 지지기반의 상실을 감수해야 할 처지다. 더욱이 여권으로부터 과거사 공세를 받고 있는 상황인 데다가 반대파 의원들의사퇴요구가 불거질 경우 내년 7월 임기전에 중도낙마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한나라당은 조기 전당대회 개최가 불가피해질 전망이며 조기 당권다툼으로 이어지거나 분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성급한 전망마저 나오고 있다. 반대파 의원들도 얻은 게 없기는 마찬가지다. 이들도 의총에서 표결로 결정된당론을 뒤늦게 뒤엎으려 시도하고, 법사위 회의장 점거는 물론 본회의장 실력저지를시도함으로써 대외적인 신뢰를 잃게 됐다. 한나라당은 당장 잇단 당직 및 의원직 사퇴 파문부터 수습해야 할 상황이다. 정책위의장직 및 의원직 사퇴를 선언한 박세일 의원은 향후 자신의 거취 문제에 대해 "의총에서 발언한 그대로"라고 말해 이를 철회할 의사가 없음을 밝혔다. 또 박 정책위의장과 호흡을 맞췄던 정조위원장 등 일부 당직자들도 당직 및 의원직사퇴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어 한나라당의 혼란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 자리에서 반대파 의원들은 당장 3일 오전 비상의총 소집을 요구키로 하고, `수도이전반대 비상대책위'를 만들어 헌법소원과 시민.사회단체연대투쟁을 벌이기로했다. 전재희 의원은 "단식투쟁에 돌입하겠다"고 선언했고, 안상수의원은 "이번 사태를 초래한 박 대표와 김 원내대표에게 사퇴를 촉구하자"고 주장했다. 당 지도부도 곧바로 국회 대표실에서 박 대표, 김 원내대표, 김무성 사무총장과 박희태 국회부의장, 강재섭 의원, 원내대표단이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책회의'를 가졌으나 별다른 대책을 강구하지 못한 채 회의를 마친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표는 퇴청하면서 기자들의 질문공세에 대해 침통한 표정을 지으면서 입을꽉 다문 채 침묵으로 일관했다. 이날 회의에서 일부 참석자들은 "정당한 절차를 통해 결정된 당론을 무시하고재의결을 요구한 반대파 의원들이 근본적으로 당을 혼란스럽게 한 것"이라고 책임을돌렸다. 한나라당은 지난 2002년 대선에서 신행정수도 건설문제가 처음 불거졌을 때부터지금까지 한번도 분명한 방향을 잡지 못한 채 여론눈치보기에 급급해 하는 모습을보여옴으로써 오늘의 불행을 자초했다는 지적이다. 여기에다가 박 대표, 이명박 서울시장, 손학규 경기지사 등 당내 대권주자들의 정치적 이해득실이 개입되면서 상황은 꼬여갔고, 대권주자들의 친소와 지역적 이해까지 겹쳐 소속 의원들의 분란은 확대재생산된 측면이 없지 않다. 정치적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사람은 누가 뭐래도 박 대표다. 박 대표는 행정도시법에 대한 여야 합의를 이끌어 내고 의총에서 이를 추인받았으면서도 반대파 의원들을 설득하는 데 실패함으로써 내부적으로 리더십을 상실했고,대외적으로는 정치지도자로서 신뢰감을 상실할 위기에 처하게 됐다. 또 수도이전 반대세력에겐 여당이 주도한 행정도시법안 처리에 방조함으로써 상당 정도 지지기반의 상실을 감수해야 할 처지다. 더욱이 여권으로부터 과거사 공세를 받고 있는 상황인 데다가 반대파 의원들의사퇴요구가 불거질 경우 내년 7월 임기전에 중도낙마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한나라당은 조기 전당대회 개최가 불가피해질 전망이며 조기 당권다툼으로 이어지거나 분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성급한 전망마저 나오고 있다. 반대파 의원들도 얻은 게 없기는 마찬가지다. 이들도 의총에서 표결로 결정된당론을 뒤늦게 뒤엎으려 시도하고, 법사위 회의장 점거는 물론 본회의장 실력저지를시도함으로써 대외적인 신뢰를 잃게 됐다. 한나라당은 당장 잇단 당직 및 의원직 사퇴 파문부터 수습해야 할 상황이다. 정책위의장직 및 의원직 사퇴를 선언한 박세일 의원은 향후 자신의 거취 문제에 대해 "의총에서 발언한 그대로"라고 말해 이를 철회할 의사가 없음을 밝혔다. 또 박 정책위의장과 호흡을 맞췄던 정조위원장 등 일부 당직자들도 당직 및 의원직사퇴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어 한나라당의 혼란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