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부 “의원직 사퇴할테면 하라”강경대응 행정도시 건설 특별법 처리를 둘러싸고 불거진 한나라당의 내부 갈등이 돌이키기 힘든 분열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특별법 처리에 반대한 의원들은 3일 ‘전면적 무효 투쟁’을 선언하며 당 지도부 총사퇴를 압박했고, 당 지도부는 이들을 해당 행위자로 규정하며 “의원직 사퇴 약속을 지키라”고 맞받아쳤다. 이재오·김문수·박계동 의원 등 한나라당 의원 32명은 이날 ‘수도 지키기 투쟁위원회’를 구성해, 행정도시 건설 특별법에 대한 위헌심판 청구와 국민 궐기대회 개최 등 무효화 투쟁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투쟁 선언문에서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문의 잉크가 마르기 전에 이뤄진 이번 폭거는 국민을 철저히 무시한 것”이라며 “날치기 통과를 막지 못한 한나라당은 국민과 역사 앞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재오 의원은 “지도부 사퇴 문제는 국민 여론에 따라 본인들 스스로 판단하기 바란다”며, 사실상 지도부 사퇴를 압박했다. 그는 이날 아침 라디오 시사 프로그램에 출연해서도 “양식 있는 정치인이라면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행정도시 특별법 통과에 반대하는 의원들의 당직 사퇴와 의원직 사퇴 선언도 줄을 이었다. 전날 당직 및 의원직 사퇴 뜻을 내비쳤던 박세일 정책위의장은 이날 “어제 한 말에 변화가 없다”며 “국회의장이 귀국하면 얘기하겠다”고 말해 의원직을 내놓을 뜻을 분명히했다. 또 박재완 제3정책조정위원장, 박찬숙 제6정조위원장이 당직 사퇴 선언을 했으며, 유정복 제1정조, 이혜훈 제2정조, 이주호 제5정조 위원장도 곧 당직 사퇴 뜻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박재완 의원은 “박세일 의장이 의원직을 사퇴하면 여러 명이 뜻을 같이할 것”이라고 말해, 의원직 사퇴도 고려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그러나 박근혜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는 이런 움직임에 대해 단호한 태도를 고수했다. 박 대표는 이날 오전 경기도 광주의 특전교육단을 방문한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표는 의원총회에서 토론과 표결을 거쳐 결정된 당론을 지키려 했을 뿐”이라며, 반대파 의원들의 사퇴 요구를 일축했다. 박 대표는 일부 의원들의 의원직 사퇴 발언에 대해 “그렇게 결정했으면, 그렇게 되는 것 아니냐”고 말해, 의원직 사퇴를 말리지 않을 것임을 내비쳤다.
전여옥 대변인도 상임운영위 브리핑을 통해 “지도부는 사퇴 의사가 없음을 재확인했다”며 “(반대파들의) 의원직 사퇴 언급에 대해서는 그 말에 책임을 져야 하고, 당으로서도 빨리 처리한다는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덕룡 원내대표도 이날 상임운영위 회의에서 전날 특별법 처리 당시 반대파 의원들의 저지 행동을 강하게 비판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반대파 의원 31명이 서명한 긴급 의원총회 소집 요구를 묵살했다. 정광섭 류이근 기자 iguassu@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