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3.03 18:24 수정 : 2005.03.03 18:24

“편법시비 일으켜 송구스럽다”

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위장전입을 통한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물의를 일으킨 데 대해 3일 사과했다. <한겨레> 보도(2월28일치 1·3면 참조)로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된 지 나흘 만이다.

이 부총리는 이날 재경부의 청와대 업무보고를 마친 뒤 정부과천청사에서 연 정례브리핑에서 “국민들이 불경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본의 아니게 처의 부동산 문제가 불거져,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사람으로서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하며, 결과와 책임은 제게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부동산 거래 관계에서 편법을 동원할 의도는 없었지만, 일부 편법 시비를 일으킨 데 대해 송구스럽다”며, “오래 전 민간인 신분에서 있었던 일이고 여러번 재산 공개 때 밝힌 내용이지만, 어떤 의혹도 남지 않도록 신중히 처리해야 했다는 아쉬움이 있다”며 거듭 죄송하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신뢰를 잃어 앞으로 정책 추진 과정에 문제가 있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개인 문제 때문에 국정 운영에 차질을 주는 상황이 와서는 안 된다”며 “부동산 정책이나 주택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답변했다.

이 부총리는 또 ‘경기도 광주 땅을 매입한 사람들이 이를 담보로 받은 대출금액이 이 부총리가 신고한 실거래값보다 높은 것으로 추정돼, 실제 거래액보다 재산 신고를 적게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매각 대금은 정확하게 신고한 액수 그대로 직접 계좌로 들어왔기 때문에 한 점의 차이도 없이 그대로 신고했다”며, “현재 (공직자윤리위원회에서) 재산 공개 내역을 실사하고 있는 만큼 이 과정에서 충분히 검증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경기도 광주 땅 매매 과정에서 이 부총리 쪽과 계약을 맺은 사람들이 다시 최종 매수자와 계약하면서 미등기 전매를 했고, 이 부총리가 이런 사실을 알고 있었던 게 아니냐’는 의혹과 관련해서는 “토지와 임야를 팔면서 받기로 한 58억원의 잔금을 모두 받고 매도를 끝냈기 때문에 중간 과정의 전매 여부는 알 수 없다”며 “또 상식적으로도 (부동산을) 매매하면 잔금을 치르면서 등기서류를 넘겨주기 때문에 그 뒤의 일은 관심을 갖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조성곤 기자 csk@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