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3.04 15:25 수정 : 2005.03.04 15:25

여야는 4일 땅투기 의혹으로 비판여론이 일고 있는 이헌재(李憲宰) 경제부총리의 거취를 놓고 논란을 벌였다.

한나라당과 민주노동당은 이 부총리의 도덕성을 문제삼아 자진 사퇴를 촉구하고 나선 반면 열린우리당은 공식 반응은 삼가면서도 '경제상황'을 감안해 이 부총리의 사과를 받아들이는 선에서 거취 논란을 매듭지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한나라당 전여옥(田麗玉)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경제수장이 부동산투기 의혹의 직접적인 대상이라는 점은 말이 안되는 일"이라며 "이 부총리는 스스로 물러나야 옳다"고 밝혔다.

같은 당 남경필(南景弼) 원내 수석부대표도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이부총리에 대해 상당히 커다란 의혹이 불거졌다"며 "재경위를 소집해 이 부총리의 해명을 듣고 응분의 책임을 묻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노동당 조승수(趙承洙) 의원단 부대표도 성명에서 "청와대와 국무총리는 경제상황을 핑계로 진상규명을 회피하고 간단한 사과로 사태를 얼버무리려고 하고 있지만 투기의혹은 투명하게 밝혀져야 한다"고 지적하고,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에 대해 "이 부총리의 부동산 투기의혹에 관한 청문회를 추진하자"고 제안했다.

민주당 김재두(金在杜) 부대변인은 전날 논평을 내고 "자신의 땅투기 의혹도 속 시원히 못 밝히면서 어떻게 부동산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는 것인지 도무지 이해가 안된다"며 "더이상 국민들을 기만하지 말고 자진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열린우리당은 공식 논평을 내놓지 않고 있지만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이 부총리에 대해 사실상 '재신임' 결정을 내린데다 경제정책의 일관성이 긴요한 시점인 점 등을 감안할 때 이 부총리의 거취를 문제삼을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원혜영(元惠榮) 정책위 의장은 "대통령이 이미 신임을 확인한데다 경기회복 분위기를 살려나가려면 정책의 일관성이 필요하고 이 부총리의 총괄조정 능력도 있어야 한다"며 "전날 이부총리의 사과로 정리된 것으로 봐달라"고 말했다.

우리당 임종석(任鍾晳) 대변인은 사견을 전제로 "공직을 활용해서 한 일이 아닌데다 본인이 이미 해명하고 사과했다"며 "올해 경제가 나아지고 있는 조짐을 보이고 있는 만큼 야당도 대승적 차원에서 이 부총리의 사과와 해명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본다"고 밝혔다.

그러나 우리당 내에서도 이 부총리가 거취표명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어 논란이 확산될 조짐도 보이고 있다.

4.2 전당대회 지도부 경선에 출마한 염동연(廉東淵) 의원은 오전 청주지역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 부총리의 처신은 공직자의 자세가 아니며 당당치 못한 것"이라며 "이 부총리는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국회 재경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부동산투기 의혹에 대한 이 부총리의 해명이 미흡하다고 보고 필요할 경우 재경위 차원에서 직접 해명을 듣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우리당 재경위 간사인 송영길(宋永吉) 의원은 "사실관계가 더 밝혀진 후에 (거취여부를) 판단할 문제라고 본다"며 "그러나 지금까지 이 부총리의 해명이 미흡하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 간사인 이종구(李鍾九) 의원은 "이 부총리의 해명이 매우 미흡하다"며 "필요하다면 재경위 차원에서 회의 소집 등을 통해 해명을 들어봐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